홍문관지 ()

목차
관련 정보
홍문관지
홍문관지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노춘 등이 왕명으로 홍문관의 연혁 · 고사 등을 기록한 관찬서. 홍문관기록문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노춘 등이 왕명으로 홍문관의 연혁 · 고사 등을 기록한 관찬서. 홍문관기록문서.
내용

1책. 인본(印本). 처음 만들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784년(정조 8)이노춘 등이 왕명에 의해 구본(舊本)을 개찬해 운각(芸閣 : 校書館의 별칭)에서 1책(39장)으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서(御製序)가 있고 끝에 규장각제학 김종수(金鍾秀)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건치(建置)·직관(職官)·진강(進講)·관규(館規)·서적(書籍)·사실(事實) 등 6문으로 되어 있다. 건치에는 홍문관의 연혁을 기록해 집현전의 후신이라 하였다. 직관에는 홍문관의 직제로서 겸직인 영사(領事) 1인, 대제학 1인, 제학 1인과 전임관인 부제학 1인, 직제학 1인, 전한 1인, 응교 1인, 부응교 1인, 교리 2인, 부교리 2인, 수찬 2인, 부수찬 2인, 박사 1인, 저작 1인, 정자 2인을 규정하였다.

진강에는 홍문관원들의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소대(召對)·야대(夜對) 등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관규에는 홍문관 운영의 실제에 관한 것으로서 전최(殿最)·차소(箚疏)·청대(請對)·처치(處置)·잡식(雜式)·대찬(代撰)·고사(故事)·절수(折受) 등을 기록하였다. 서적에는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서적의 수집과 복제·대출·열람·편찬·간행에 대해 설명하고, 사실에는 홍문관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적었다.

조선시대에 삼사(三司)의 하나로서 언론기능과 아울러 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했던 홍문관에 관한 귀중한 자료의 하나이다. 그 밖에 1870년(고종 7)에 중간한 1책 58장으로 된 것이 있다. 이것은 정조 8년판을 토대로 한 것으로 영의정 김병학(金炳學)의 발문이 추가되어 있다. 이종으로는 최창대(崔昌大)가 찬하고 이종성(李宗城)이 증보한 연기 미상의 2권 2책의 ≪홍문관지≫가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홍문관지』(서울대학교 규장각, 2002)
「홍문관의 성립경위」(최승희, 『한국사연구』 5, 197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승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