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군 ()

관북지도
관북지도
인문지리
지명
함경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함경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
개관

동북쪽은 북청군, 서쪽은 함주군, 서북쪽은 신흥군, 남쪽은 동해에 면한다. 동경 127°45′∼128°13′, 북위 39°53′∼40°18′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994.52㎢, 인구 11만 2252명(1943년 현재)이다. 1개 읍 6개 면 278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홍원읍 신흥리이다.

자연환경

함경산맥의 여맥이 뻗어 내려 북서부 일대는 대체로 산지를 이룬다. 동부는 남갈령(南葛嶺, 315m), 서부는 웅봉(熊峰, 722m)·함관령(咸關嶺, 450m), 서남부는 초막산(草幕山, 579m)·추덕산(楸德山, 401m), 남부는 황가라산(黃加羅山, 337m)·사랑산(思郎山, 252m), 북부는 팔봉(八峰, 1,681m)·영기봉(靈奇峰, 1,272m)·거두봉(擧頭峰, 1,304m), 그리고 중동부는 묵방산(墨坊山, 1,010m) 등의 산지가 솟아 있다.

두무산(豆蕪山)에서 발원한 서대천(西大川)이 면의 중서부를 흐르며, 향파산(香坡山)에서 발원한 동대천(東大川)이 면의 동부를 흘러 모두 동해로 유입된다. 하천 유역에는 홍원평야와 용원평야가 발달되어 벼농사의 중심지를 이룬다.

해안선은 홍원만을 비롯하여 비교적 굴곡이 심하며, 전진(前津)·경포(景浦) 등의 양항이 발달되어 있다. 이 군은 지형적으로 북쪽에서부터 산악 지대·평야 지대·해안지대 등의 세 지역으로 구분된다.

기후는 고위도에 위치하여 대체로 한랭하지만, 지역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함경산맥이 겨울의 북서 계절풍을 막아 주며, 동해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의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 신의주에 비교하면 연평균 기온 1℃, 1월 평균 기온 4. 4℃ 정도가 높다. 연평균 기온 9.6℃, 1월 평균 기온 -5.4℃, 8월 평균 기온 23.7℃이며, 연 강수량은 753㎜이다.

역사

[고 대]

구석기·신석기 시대의 유물·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경운면에서 청동기 시대의 지석묘가 발견됨으로써 청동기 시대부터는 이곳에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역사 시대에 들어와 남옥저에 속하여 있다가 고구려가 흥기함에 따라 56년(태조왕 4)에 고구려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244년(동천왕 18)에 위(魏)관구검(毌丘儉)의 침공으로 국내성(國內城)이 함락되고 동천왕이 강계·강진·황초령을 지나 동해안의 매구(買溝:文川)까지 피난하였으므로 이 지방도 전란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 뒤 6세기 후반에 신라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계속 북진하여 지금의 함경남도 일원을 점령함에 따라 이 지방은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그리고 9세기에는 발해가 평안도와 함경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므로 발해의 영토로서 남경남해부(南京南海府)에 속하였다.

[고 려]

고려 건국 직후부터 추진된 북진정책으로 영흥 이남은 고려 영토로 편입되었으나, 함주 이북은 여진의 세력권에 들어 있었으므로 이 지방에도 역시 여진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1107년에 윤관(尹瓘)이 별무반(別武班)을 조직하여 함흥평야를 점령하고, 다음해에 함주대도독부(咸州大都督府)와 영주(英州)·웅주(雄州)·길주(吉州)·복주(福州)·공험진(公嶮鎭)·통태진(通泰鎭)·숭녕진(崇寧鎭)·진양진(眞陽鎭)에 이른바 9성(城)을 수축함에 따라 고려의 영토가 되었으나, 1109년에 9성을 여진족에게 돌려주게 되어 다시 여진족에게 넘어가고 말았다.

그 뒤 금나라가 쇠망하면서 고려의 영토로 회복되었으나, 몽고와의 전쟁중이던 1258년(고종 45)에 조휘(趙暉)·탁청(卓靑) 등이 화주 이북의 땅을 가지고 몽고에 항복하자 몽고는 화주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하여 이 지역을 지배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공민왕이 반원정책을 실시하면서 쌍성총관부를 공략하여 영토를 회복하고 함주에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가 곧 만호부로 고치고 1369년에 다시 목(牧)으로 승격시켰는데, 이 무렵에 비로소 함주에서 분리되어 현(縣)이 된 듯하다.

이는 《동국여지승람》에 이 군의 명칭으로 기록된 홍헌(洪獻)·홍긍(洪肯) 등의 이름이 《용비어천가》에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조 선]

1398년(태조 7)에 홍원으로 고쳐 함흥부(咸興府)에 예속시켰다가 1402년(태종 2)에 다시 분리하여 현령을 두었다. 얼마 뒤에 함흥부에 환속시켰으나, 1433년(세종 15)에 또다시 분리하여 이번에는 현감을 두었고 치소(治所)를 신익사고읍(新翼社古邑), 즉 지금의 홍원읍 하양리로 정하였다가 1438년에 지금의 학두봉(鶴頭峰) 아래로 옮겼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문관으로 현감(종6품)·훈도(訓導, 종9품) 각 1인이 있었고, 무관으로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종6품) 1인이 있어 현감이 겸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가토(加藤淸正)의 왜군이 함경도를 침공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도 청군의 일부인 몽고병이 함경도를 거쳐 철수하였기 때문에 이 지방도 많은 피해를 당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여지도서》에 의하면, 1759년(영조 35) 현재의 행정조직은 신익사·노동사(蘆洞社)·부민사(富民社)·호현사(好賢社)·경포사(景浦社)·용원사(龍源社) 등 6개 사로 이루어지고, 호수는 3,284호, 인구는 2만 173인(남자 9,943인, 여자 1만 230인)이었으며, 한전(旱田)은 원전(元田)이 1,143결27부7속, 속전(續田)이 451결62부9속이고, 수전(水田)은 287결69부3속이었다.

현감겸전영장(縣監兼前營將) 1인, 좌수(座首) 1인, 별감(別監) 2인, 군관(軍官) 2인, 아전지인(衙前知印) 60인, 사령(使令) 20인, 군뢰(軍牢) 22인, 관노(官奴) 36인, 관비(官婢) 45인, 소중군(小中軍) 1인, 천총(千摠) 1인, 파총(把摠) 1인, 초관(哨官) 7인, 기패관(旗牌官) 32인, 봉수별장(烽燧別將) 1인, 봉무사(烽武士) 100인, 가솔(假率) 70인, 친기위(親騎衛) 130인 등이 있었다.

[근 대]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홍원읍지》에 의하면, 행정조직은 신익사·경포사·부민사·호현사·용전사(龍田社)·요원사(要原社)·용호사(龍湖社)·용연사(龍淵社)·학천사(鶴川社) 등 9개 사로 구성되어 치소는 신익사에 두어졌으며, 호구는 원호(元戶)가 4,034호, 정(丁)은 2만 5621인(남자 1만 2496인, 여자 1만 3125인)이었다.

또한, 군정(軍丁)은 세초군(歲抄軍) 415인, 영보군(營步軍) 305인, 삼수군(三水軍) 120인, 순친솔(巡親率) 39인, 순수포(巡收布) 70인, 전초군(前抄軍) 126인, 좌초군 126인, 우초군 126인, 중초군 126인, 기수군(旗手軍) 126인, 무학(武學) 126인, 마병 51인 등 총 1,756인이었고, 전결(田結)은 원전이 1,480결55부1속, 가경전(加耕田)이 398결36부, 가속전(加續田)이 352결50부8속이었다.

1895년 지방관제가 개정되어 부·군제가 실시됨에 따라 홍원군으로 개편되어 군수가 두어지고 함흥부에 속하였다. 그러나 다음해에 다시 지방관제가 개정되어 13도제가 실시되자 함경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 아래의 사(社)가 면(面)으로 고쳐지면서 주익면(州翼面)·경포면(景浦面)·운포면(雲浦面)·용원면(龍源面)·용천면(龍川面)·평포면(平浦面)·희현면(希賢面)·호현면·학천면(鶴泉面)·용운면(龍雲面)·보청면(甫靑面) 등 11개 면이 두어졌다.

그리고 1936년에 주익면이 홍원면으로 개칭되고, 그 밖의 면들도 폐합, 개칭되어 경운면(景雲面)·용원면·용포면(龍浦面)·보현면(普賢面)·운학면(雲鶴面)·삼호면(三湖面) 등 1읍 6면으로 개편되었다.

인구통계를 보면 1928년에 호수 1만 8566호, 인구 8만 5807명이던 것이 1943년에는 호수 1만 8750호, 인구 11만 2252명(남자 5만 5703명, 여자 5만 6549명)으로 이원·단천 등 인근의 다른 군에 비하여 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관계로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1919년 2·8독립선언의 주모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최팔용(崔八鏞)이 이곳 홍원읍 출신이며, 3·1운동 때에는 천도교인이 중심이 되어 3월 16일에는 홍원읍에서, 3월 22일에는 용포면 평포장 안에서 대대적인 만세시위를 일으켰는데, 특히 평포장에서는 일본 경찰의 발포로 많은 사상자를 내었다.

박은식(朴殷植)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韓國獨立運動之血史》에 의하면 홍원군 내의 집회 횟수는 6회, 집회인 수는 1,000명이었다고 한다. 3·1운동 후 임시정부에서 조직한 연통제(聯通制)에서는 1920년 12월 말 현재 군감(郡監)은 이상종(李商鐘), 참사(參事)는 김신근(金信根)이었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의 발단이 홍원에서 비롯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이중화(李重華)·한징(韓澄)·이윤재(李允宰)·최현배(崔鉉培)·이희승(李熙昇) 등 많은 인사들이 검거되어 홍원경찰서와 함흥경찰서에서 모진 고문을 받고 함흥감옥에 이감되었다가 이 중 한징과 이윤재가 옥사하였다.

유물·유적

유적으로는 운학면 풍호리와 부남리 사이에 있는 부민동고분군(富民洞古墳群)은 고려 시대의 것으로 높이 2m 내외, 지름 4.8m 가량의 고분 약 50기(基)가 모여 있다.

산성지로는 홍원읍의 천계봉산성(天鷄峯山城)과 운학면의 성령산성(城嶺山城), 용원면의 요원산성(要原山城)이 있으며, 홍원읍성은 주위가 462m로 동문과 남문의 문루가 남아 있다.

비각으로는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가 원나라의 승상 나하추(納哈出)의 침략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1830년(순조 30)에 세운 달단동승전기적비(韃靼洞勝戰紀蹟碑)를 비롯하여,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서덕린(徐德麟)의 행적을 기록한 서장군비(徐將軍碑)와 병자호란 때 전사한 홍원현감 송심(宋諶)의 충의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송공비(宋公碑)가 있다.

문루로는 1798년(정조 22)에 건립한 의두루(依斗樓)와 홍원읍성 남문의 문루인 곤화루(鯤化樓), 1691년(숙종 17)에 지어진 쇄취당(鎖翠堂), 1801년에 창건되었다가 1922년에 중수된 해월정(海月亭), 그리고 월파정(月波亭)·남산루(南山樓)·소선정(紹仙亭) 등이 남아 있으며, 사찰로는 향파암(香坡庵)·은적사(隱寂寺)·보문암(普聞庵)·흥복암(興福庵)·정수암(淨水庵)·망해암(望海庵)·은선암(隱仙庵)·석문암(石門庵)·영천암(靈泉庵)·화장암(華藏庵)·광흥암(廣興庵)·흥덕암(興德庵) 등이 있다.

또한, 관애(關阨)로는 함관령(咸關嶺)·차유령(車踰嶺)·대문령(大門嶺)·산성치(山城峙)·요원성치(要原城峙)·창령(倉嶺)·도진령(都陳嶺)·쌍가령(雙駕嶺)·승방령(勝芳嶺) 등이 있고, 단대(壇臺)로는 사직단(社稷壇)·성황단(城隍壇)·여단(厲壇)·남사대(南射臺)·동사대·북사대·서사대·양무당(養武堂) 등이 있다.

옛 창고로는 읍성 안의 관아 남쪽에 있는 읍창(邑倉)을 비롯하여 운학면 학산리의 부창(富倉), 용원면의 요창(要倉)·산창(山倉), 경운면 우간진(右看津)에 있는 해창(海倉), 경운면의 평창(平倉)과 이 밖에 방어창(方魚倉)·군기고·화약고·진상고(進上庫)·대동고(大同庫)·전세고(田稅庫)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그 유지만이 남아 있다.

교육·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홍원향교(洪原鄕校)를 중심으로 많은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지방 여러 곳에는 서원 격인 서재와 서당이 개설되어 한문을 전수하였다. 특히, 서재와 서당이 많고, 서당이 유례 없이 융성하였던 것이 특색이라 할 수 있다.

홍원읍에 양사재(養士齋) 등 4개, 경운면에 경의재(敬義齋) 등 4개, 용원면에 진수재(進修齋) 등 4개, 운학면에 모선재(慕先齋) 등 5개, 용포면에 삼회재(三會齋) 등 3개의 서재가 있었으며, 1937년 조사에 의하면 80여 개의 서당과 1,177명의 학동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상명학교·남산학교 등을 비롯하여 많은 사립학교가 설립되었으며, 그 뒤 점차 공립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중등학교로는 1921년 양사재의 후신으로 육영학원이 설립되었으며, 홍성유치원도 있었다. 1945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4개교, 간이학교 8개교, 중등학교 1개교가 있다.

종교 상황은 함흥의 영향을 받아 개신교와 천주교가 활발하였으며, 홍원읍과 삼호면을 중심으로 교회가 건립되었고, 사회사업으로 유치원도 설치하였다. 1945년 현재 불교 사찰 12개가 있다.

산업·교통

주산업은 농업과 수산업으로, 서대천과 동대천 유역에 형성된 홍원평야·용원평야를 중심으로 논농사 위주의 농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조·귀리·감자 등이다. 연근해에서는 수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조경 수역(潮境水域)을 형성하여 세계적인 어장을 이루며, 명태·대구·연어·청어·고등어·가자미 등의 어획이 풍부하다.

따라서, 전진·송잠(松岑)·돌성(乭城)·삼호(三湖)·무계(茂桂) 등의 어항이 발달되었으며, 명란·간유 등을 비롯한 각종 수산 가공업이 발달되었다.

광업은 용포면에서 형석과 흑연, 경운면에서 석회석, 운학면에서 금·은 등이 산출된다. 특히, 형석은 국내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하며, 석회석과 흑연도 품질이 우수하고 매장량이 풍부하여 관북 지역의 카바이드·석회질소 공업 등의 원료는 대부분 이 군에 의존한다.

시장으로는 8개의 정기 시장이 있는데 홍원읍 홍원장, 용원면 영무장, 용포면 내중장·평포장, 경운면 중흥장, 보현면 어은장·연봉장, 삼호면 삼호장 등이 유명하다. 장시의 주요 거래 품목은 축우·곡물류·신탄·생선류 등이며, 그 밖에 생활용품이 거래된다.

교통망으로는 함경선이 면의 남부 해안 지대를 따라 통과하며, 삼호·용운·경포·홍원·중호·영무 등 여러 역이 설치되었다. 도로는 홍원을 중심으로 원산∼회령 간의 1등도로가 면의 중남부를 통과하며, 서호∼홍원 간, 홍원∼중강진 간, 홍원∼신포 간, 신포∼방촌 간의 3등도로가 통과한다. 함관령·남갈령 등의 안부는 교통로로 이용되며, 그 밖에 해안 지대에서 북부 산악 지대로 통하는 등외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연안의 전진항은 근해 연안항로의 기항지로서 이 군의 문호 구실을 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천도(穿島)·주을도(注乙島)·절부암(節婦巖)·번가호(飜歌湖)·송도(松島) 등이 있으며, 해상 경관이 아름다워 절경을 이룬다. 죽도는 기암괴석이 육지를 향하여 줄지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송도는 전진만을 두 개의 지역으로 분리하는 것 같은 지형을 이루며, 노송이 울창한 3개의 섬으로 되어 있어 경치가 뛰어나고, 육지와 연이어져 바다와 육지에 걸친 대공원을 이룬다. 해수욕장도 발달되어 있어 관북 지역의 관광지·명승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읍·면

[홍원읍洪原邑]

군의 중남부에 위치한 읍. 면적 38.5㎢, 인구 2만 7672명(1944년 현재). 읍 소재지는 신흥리이다. 본래 신익사(新翼社)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주익면(州翼面)으로 되었다. 1936년 홍원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41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북동쪽은 사랑산·학두봉(鶴頭峰, 162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그 밖에 대부분의 지역은 평야 지대를 이루고, 동남부는 해안 지대이다. 서대천이 읍의 서부를 동남류하다가 동해로 유입되며, 하천 유역에는 비옥한 홍원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감자 등이다. 연근해에서는 수산업이 활발하며, 명태·고등어·정어리 등의 어획이 풍부하다. 명란·간유 등을 비롯한 각종 수산 가공업과 이에 따른 상업과 운수업도 이루어지며, 전진항은 어업의 근거지이다.

교통은 함경선이 읍의 남부 해안선을 따라 통과하며, 홍원 등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원산∼회령 간의 1등도로가 읍의 중앙을 통과하며, 서호∼홍원 간, 홍원∼신포 간의 3등도로가 함경선과 거의 병행하여 통과한다. 경운면·운학면·삼호면·함주군 등과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연안의 전진항은 연안항로의 기항지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암혈(巖穴)이 무지개 같은 모습을 한 천도, 함경남도 10경의 하나인 송도·죽도 등을 비롯하여 해안 일대의 백사장과 송림이 울창하여 해안 경관이 뛰어나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 중학교 1개교가 있다.

신흥(新興)·방하(方下)·방상(方上)·방서(方西)·동흥(東興)·장동(壯東)·장정(壯亭)·천중(穿中)·남흥(南興)·서흥(西興)·남당(南塘)·내원(來源)·동문동(東門東)·학동(鶴東)·학중(鶴中)·학남(鶴南)·성동(城東)·성남(城南)·부흥(富興)·봉상(鳳翔)·인흥(仁興)·남동(南洞)·동상(東桑)·서상(西桑)·학산(鶴山)·성서(城西)·남정(南井)·신중(新中)·도정(都井)·창대(倉垈)·기양(岐陽)·용천(龍川)·남송(南松)·남계(南溪)·남산중(南山中)·남산서(南山西)·농서(農西)·효동(孝洞)·회흥(回興)·양류정(楊柳亭)·신풍(新豐)·주흥(周興)·시흥(始興)·풍흥(豐興)·중흥(中興)·하중(河中)·하남(河南)·하동(河東)·하양(河陽)·풍곡(豐谷)·문중상(門中上)·문흥(門興)·서상(西上)·문호(門湖)·신포(新浦)·원호(元湖)·연동(蓮東)·해암(蟹巖) 등 58개 이가 있다.

[경운면景雲面]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100.49㎢, 인구 1만 431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동포리이다. 본래 경포사(景浦社) 지역으로서, 경포사·운룡사(雲龍社)·염포사(濂浦社)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운포면과 염포면이 병합하여 운포면으로 되었으며, 1936년 경포면과 운포면이 병합하여 경운면이 되었다.

동쪽은 묵방산·황가라산, 서남쪽은 사랑산, 북쪽은 용와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그 밖에 대부분의 지역은 낮은 구릉 지대를 이루고, 남부는 해안 지대이다. 구릉 지대와 해안 지대를 중심으로 농업이 이루어지며, 주요 농산물은 쌀·콩·팥 등이다.

연근해에서는 수산업이 활발하여 명태·대구·황어·조개류 등의 어획이 풍부하다. 광업은 동호리에서 석회석이 생산되며, 흥남질소비료공장에서 직영하는 광산으로 공업 원료로 반출된다.

교통은 함경선이 면의 남부 해안선을 따라 통과하며, 경포·운포 등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거의 병행하여 원산∼회령 간의 1등도로가 통과하며 면의 서부를 홍원∼중강진 간의 3등도로가 통과한다. 홍원읍·용원면·보현면 등과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관동리의 관어대(觀漁臺), 장흥리의 절부암, 경포만(景浦灣), 이성계의 사냥 솜씨에 대한 전설이 담겨 있는 용와산의 옛 이름인 조포산(照浦山)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동포(東浦)·남학(南鶴)·장흥(長興)·남송(南松)·송동(松洞)·좌하(左下)·용풍(龍豐)·신양(新陽)·관덕(觀德)·이화정(梨花亭)·동동(銅洞)·용성(龍城)·운동(雲東)·흥석(興石)·인흥(仁興)·좌상(左上)·좌중(左中)·동촌(東村)·좌호(左湖)·남양(南陽)·좌동(左東)·인정(獜亭)·송령(松嶺)·우중(右中)·동양(東陽)·우상(右上)·우간서(右看西)·우간중(右看中)·우간상(右看上)·중흥(中興)·산서(山西)·호남(湖南)·안풍(安豐)·동계(東溪)·관중(觀中)·관동(觀東)·동호(東湖)·송정(松亭)·소돌(小乭)·운흥(雲興)·관흥(觀興)·동상(東上)·용흥(龍興)·서상(西上)·부흥(富興)·용반(龍盤) 등 46개 이가 있다.

[보현면普賢面]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225.74㎢, 인구 1만 57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어은리이다. 본래 호현사(好賢社) 지역으로서, 호현사·희현사(希賢社)·신흥사(新興社)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흥면이 희현면으로 병합되었다. 1936년 호현면과 희현면을 병합하여 보현면이 되었다.

동쪽은 구절봉(九節峰, 973m)·고우치(高右峙, 1,280m), 동남쪽은 용와산, 북쪽은 팔봉·중덕산(中德山, 1,379m), 중앙에는 영기봉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 산간지대를 이룬다.

서대천이 면의 중앙을 남류하다가 면내에서 발원한 여러 계류를 합류하여 운학면·홍원읍을 지나 동해로 유입된다. 상류 지역으로서 하천 유역에는 소규모의 평야가 발달되어 있으며, 농경지가 협소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조·귀리·감자 등이다. 임업은 임산자원이 풍부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목재·약초 등이 생산되며, 다른 지역으로 반출된다.

교통은 홍원∼중강진 간의 3등도로가 면의 서부를 통과하며, 그 밖의 주요 지역에 등외도로가 통과한다. 홍원읍·운학면·경운면·용포면·신흥군 등과 연결되어 있으나 불편한 편이다.

유물·유적으로는 은택리의 은적사, 석천(石泉)으로 유명한 사자천(獅子遷)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어은(漁隱)·풍동(豐東)·안흥(安興)·직동(直洞)·안풍(安豐)·호상(乎上)·도원(桃源)·원상(源上)·농원(農源)·중흥(中興)·풍전(豐田)·영동(靈洞)·연봉(延鳳)·용풍(龍豐)·호하(虎下)·호흥(虎興)·용택(龍澤)·조흥(肇興)·용성(龍城)·용흥(龍興)·용포(龍浦)·성포(城浦)·용전(龍田)·용중(龍中)·용림(龍林)·용서(龍西)·어헌(魚軒)·어내(魚乃)·방상(芳上)·방덕(芳德)·방남(芳南)·방중(芳中)·방동(芳東)·방계(芳溪)·은택(隱澤) 등 35개 이가 있다.

[삼호면三湖面]

군의 서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98.72㎢, 인구 1만 891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상신흥리이다. 본래 함흥군의 보청사(甫靑社)와 퇴조사(退潮社) 지역으로서, 동보청사(東甫靑社)·서보청사(西甫靑社)·동퇴조사(東退潮社)·서퇴조사(西退潮社)로 분리되었다가, 1906년 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퇴조면이 함주군에 편입되고, 서보청면과 동보청면이 보청면으로 병합되었다. 1920년 동퇴조면을 편입하였으며, 1936년 용운면 일부를 편입하여 삼호면이 되었다.

서쪽은 초막산·추덕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 산간지대를 이루고, 동남부는 해안 지대이다. 면내에서 발원한 여러 계류들이 동류하다가 동해로 유입된다. 하천 유역에는 소규모의 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조·감자 등이다. 임업은 임산자원이 풍부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목재·신탄 등이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수산업이 활발하여 명태·고등어·가자미 등의 어획이 풍부하다. 명란·간유 등을 비롯한 각종 수산 가공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삼호항은 어항으로 유명하다.

교통은 함경선이 면의 동남부 해안선을 따라 통과하며, 삼호·세포 등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거의 병행하여 서호∼홍원 간 3등도로가 통과하며, 홍원읍·운학면·함주군 등과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전초도(全椒島)가 있으며, 유물·유적으로는 금호리의 진동도(秦童島), 용흥리의 노송(老松)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상신흥(上新興)·추흥(秋興)·동흥(東興)·용흥(龍興)·화동(和洞)·송호(松湖)·송평(松坪)·섬(剡)·부민(富民)·풍서(豐西)·상부(上富)·풍양(豐陽)·풍동(豐東)·송흥(松興)·풍남(豐南)·남양(南陽)·송산(松山)·신흥(新興)·신덕(新德)·신평(新坪)·신상(新上)·신중(新中)·신성(新成)·신하(新荷)·용연(龍淵)·무계(茂桂)·신계(新桂)·해청(海靑)·나천(羅川)·은동(隱洞)·나상(羅上)·동상(東上)·금호(錦湖)·호남(湖南)·풍하(豐下)·풍중(豐中)·풍상(豐上)·상흥(上興)·중평(中平)·중흥(中興)·원흥(元興)·상중흥(上中興)·중양(中陽)·남호(南湖)·운계(雲溪) 등 45개 이가 있다.

[용원면龍源面]

군의 동남부에 위치한 면. 면적 50.54㎢, 인구 1만 436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춘동리이다. 본래 용원사 지역으로서, 북부 지역이 용천사(龍川社)와 동천사(東川社)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천면이 용천면으로 병합되었다. 1936년 용천면과 평포면이 용포면으로 병합되었으며, 용천면 일부와 운포면 일부를 편입하여 용원면이 되었다.

서쪽은 황가라산이 솟아 있으며, 그 밖에 대부분 지역은 낮은 구릉 지대를 이루고, 남부는 해안 지대이다. 동대천이 면의 서부를 남류하다가 동해로 유입된다.

하천 유역에는 비옥한 용원평야가 발달되어 있으며, 관개수리가 잘 갖추어져 있어 쌀의 생산량이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감자 등이다. 연근해에서는 수산업이 활발하여 명태·고등어·가자미 등의 어획이 풍부하다.

교통은 함경선이 면의 남부 해안선을 따라 통과하며, 중호·영무 등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거의 병행하여 홍원∼신포 간의 3등도로가 통과하며 면의 서부를 신포∼방촌 간의 3등도로가 통과한다.

경운면·용포면·북청군 등과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경치가 아름다우며, 유물·유적으로는 이성계가 노송을 심었다고 전해지는 영공대(靈公臺), 대문령성지(大門嶺城址)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춘동(春洞)·신호(新湖)·중호(中湖)·원호(元湖)·도룡(都龍)·풍계(豐溪)·중동(中洞)·풍남(豐南)·신풍(新豐)·용덕(龍德)·동동(銅洞)·운동(雲洞)·중양(中陽)·동촌(東村)·신안(新安)·원동(源東)·연하(蓮下)·동계(東溪)·운계(雲溪)·남호(南湖)·용호(龍湖)·천상(泉上)·천하(泉下)·다전(多田)·대돌(大乭)·영대(靈臺)·영소(靈沼)·영덕(靈德) 등 28개 이가 있다.

[용포면龍浦面]

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266.73㎢, 인구 1만 4405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서포리이다. 본래 용원사의 북부 지역으로서 용천사와 동천사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천면으로 되었으며, 북청군의 평포면이 이 군으로 편입되었다. 1936년 용천면의 일부와 평포면을 폐합하여 용포면이 되었다.

동쪽은 종산(鐘山, 705m)·남갈령, 서쪽은 용와산·구절봉, 남쪽은 묵방산, 북쪽은 팔봉·거두봉·발의봉(發義峰, 1,477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 산간지대를 이룬다. 동대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다가 면내에서 발원한 여러 계류를 합류하여 용원면을 지나 동해로 유입된다. 상류 지역으로서 하천 유역에는 소규모의 평야가 발달되어 있으며, 농경지가 협소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팥·메밀·감자 등이다. 임업은 임산자원이 풍부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목재·신탄·약초 등이 생산되며, 다른 지역으로 반출된다.

광업은 내중리에서 형석과 흑연이 생산된다. 교통은 신포∼방촌 간의 3등도로가 면의 동남부를 통과하며, 그 밖의 중요 지역에 등외도로가 통과한다. 용원면·경운면·북청군 등과 연결되어 있으나 불편한 편이다. 유물·유적으로는 송상리의 향파암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서포(西浦)·신덕(新德)·신흥(新興)·동포(東浦)·동평(東坪)·중평(仲坪)·나흥(羅興)·용풍(龍豐)·내양(內陽)·신계(新溪)·용천(龍泉)·송상(松上)·외상(外上)·외하(外下)·노은(老隱)·내초(內初)·내중(內中)·내상(內上) 등 18개 이가 있다.

[운학면雲鶴面]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 면적 204.89㎢, 인구 1만 385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풍양리이다. 본래 부민사와 용동사(龍洞社) 지역으로서, 학천사·학산사(鶴山社)·용운사·용연사·호남사(湖南社)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산면은 학천면에 용연면·호남면은 용운면에 병합되었다. 1936년 학천면과 용운면이 병합하여 운학면이 되었다.

서쪽은 함관령·웅봉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대부분 산간지대를 이룬다. 서대천이 보현면으로부터 흘러 들어와 면의 동부를 남류하다가 면내에서 발원한 여러 계류를 합류하여 홍원읍을 지나 동해로 유입된다.

하천 유역에는 비옥한 홍원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콩·팥·채소 등이다. 임업은 임산자원이 풍부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목재·신탄 등이 생산된다. 광업은 대흥리에서 금·은 등이 생산된다.

교통은 원산∼회령 간의 1등도로가 면의 중앙을 통과하며, 그 밖의 주요 지역에 등외도로가 통과하며, 함관령은 교통로로 이용된다. 삼호면·홍원읍·보현면·함주군 등과 연결되어 있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번가호가 있으며, 유물·유적으로는 달단동승전기적비·함관령·서산석성지(西山石城址)·서장군비(徐將軍碑)·달단동고분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2개교가 있다.

풍양(豐陽)·풍계(豐溪)·풍택(豐澤)·효달(孝達)·은행(銀杏)·남흥(南興)·부남(富南)·풍호(豐湖)·학산(鶴山)·풍산(豐山)·신상(新上)·신양(新陽)·중상(中上)·풍동(豐東)·산양(山陽)·중양(中陽)·학동(鶴洞)·남평(南坪)·용릉(龍陵)·장남(壯南)·하풍서(下豐西)·장동(壯洞)·거상(車上)·상신흥(上新興)·영상(嶺上)·장흥(長興)·인흥(仁興)·관양(關陽)·장덕(長德)·장생(壯生)·운상(雲祥)·노적(露積)·운흥(雲興)·대흥(大興)·동상(東上)·함덕(咸德)·용전(龍田)·상풍서(上豐西)·직동(直洞)·중흥(中興)·신덕(新德)·공덕(公德)·용동(龍洞)·청수(淸水)·연흥(連興)·천서(川西)·두남(斗南)·하신흥(下新興) 등 48개 이가 있다.

광복 후 변천

1952년 12월 용원면의 일부를 신포군에, 삼호면을 낙원군에 편입시키고, 홍원읍·경운면·보현면·운학면·용포면과용원면의 일부로 면 행정단위를 폐지하고 이 단위로 분할, 통폐합하여 군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1954년 10월 방동리·남산리 일부를 분리하여 홍원읍에, 남산리·호남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용운리에, 용덕리의 일부를 고읍리에 각각 편입시켰다. 1960년 10월 신포군의 용신리·용삼리·동중리·중서리·운하리·용포리·삼성리와 용중리·용성리 일부를 편입시켰다.

한편, 전진노동자구와 남천리는 홍원읍에, 용중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삼성리와 운포리로 각각 편입시켰다. 1967년 10월 운포리를 운포노동자구로 변경하였다.

함경남도 중부 동해안에 있으며, 동쪽은 북청군·신포시, 서쪽은 함흥시, 남쪽은 낙원군, 북쪽은 신흥군·덕성군과 접하여 있고, 동남쪽은 동해에 면하여 있다. 동경 127°44′∼128°12′, 북위 39°59′∼40°18′에 위치하며, 면적 약 905㎢, 인구 10만 8600여 명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은 홍원읍과 운포(雲浦)노동자구, 방동(方東)·남산(南山)·고읍(古邑)·호남(湖南)·용운(龍雲)·관흥(關興)·용덕(龍德)·산양(山陽)·장풍(壯豊)·남풍(南豊)·부상(富上)·보현(普賢)·구룡(九龍)·원덕(源德)·동상(東上)·방평(芳坪)·광명(光明)·학송(鶴松)·경포(景浦)·신성(新成)·경흥(鏡興)·운상(雲上)·삼성(三成)·용포(龍浦)·동중(東仲)·운하(雲下)·중은(中隱)·중서(中西)·용신(龍新)·용삼(龍三) 등 30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홍원읍이다.

이 군은 북서쪽이 높고 남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져 언덕과 저산성 산지가 우세하다. 북동쪽 경계에는 거두봉(1,.303m) 등이 솟은 거두봉산맥이, 북쪽 및 북서쪽 경계에는 발의봉(1,477m)·팔봉(1,682m) 등이 솟은 함관령산맥이 뻗어 있으며, 군의 중심부에는 고우재(1,278m)·구걸봉(905m)·묵방산(1,009m) 등이 솟아 있다.

군의 동쪽에는 동대천(신포)이, 서쪽으로는 서대천(홍원)이 남부로 흘러 동해에 유입하며 해안과 유역에 충적평야가 펼쳐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31.3㎞로 비교적 굴곡이 심하고, 앞바다에는 송도·대섬·까치섬 등 작은 섬들이 산재해 있다. 기반암의 대부분은 화강편마암·석회암 등이고, 토양의 대부분은 충적토와 논토양으로 되어 있다.

연평균 기온 9.4℃, 1월 평균 기온 -5.3℃, 8월 평균 기온 22.4℃, 첫서리는 10월 하순경, 마감서리는 4월 하순에 내린다. 연평균 강우량은 780㎜정도이다.

산림은 군 전체 면적의 약 70%로서, 주로 소나무림과 소나무∼참나무림이 많으며, 황철나무·사시나무·가래나무·분지나무 등이 섞여 있다. 그리고 산과일과 산채·약초 등이 생장하고 있다.

농경지는 군 전체 면적의 13.2%이며, 그중 논이 27%, 밭 60%, 과일밭 9%, 뽕밭은 3.3%를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와 쌀이고, 콩·수수·감자·담배·깨 등 잡곡류와 배추·무·가지·시금치·마늘·고추 등의 채소를 재배한다.

이 군은 함경남도에서 중요한 과수 재배 지역의 하나로서 많이 나는 과일은 사과·배·복숭아이며, 그중 사과가 60%를 차지한다. 양잠도 적지 않으나 가둑누에고치가 더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가축은 주로 소·돼지·양·토끼·닭·오리를 많이 사육하고 있다.

수산업은 동해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홍원수산사업소와 여러 개의 수산협동조합, 수산 작업반에서 원양 및 근해 어로를 담당하고 있으며, 경포에는 냉동장식과 천해 양식장이 있다.

주요 수산물은 명태·멸치·삼치·임연수어·방어·대구·청어·송어·가자미·꽁치·까나리·낙지·문어·조개·성게·해삼 등으로 어종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 군은 석회석 자원이 풍부하여 운포노동자구에는 화학공업과 건재공업 원료로 쓰이는 석회석을 채굴하는 대규모 석회석광산과 흑연·납·형석을 채굴하는 광산들이 있으며, 시멘트 공장과 선박 수리 공장, 수산물 가공 공장들이 있다.

그 밖에 건재·화학제품·피복·식료품·일용품·농기구·토기 등을 생산하는 소규모 지방 공장들이 있다. 교통망으로는 철도는 평라선(평양∼나진)이 지나며, 원산·나진·북청·신포·낙원·함흥 방면으로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명승지로는 소나무숲으로 우거진 3개 바위섬으로 홍월솔섬(북한 천연기념물 제279호)과 바닷물의 해식 작용으로 형성된 청도해식굴(북한 천연기념물 제280호), 운포노동자구의 운포동굴(북한 천연기념물 제281호) 등이 알려져 있다.

유적 발굴로는 북한 측이 1958년 12월과 1967년 두 차례에 걸쳐 운포리 소재 청동기 시대의 석관묘를 발굴하여 1961년 《문화유산》 1호와 1974년 《고고학자료집》 4호에 발표한 바 있다. 부상리 고분(북한 사적 제60호)에는 150기의 고분이 있다.

홍원읍에는 용원산성터를 비롯해 많은 산성터가 남아 있다. 함관령에는 이성계가 원군을 물리친 기념으로 세운 달단동 승전기념비가 있다. 주요 교육기관으로는 홍원고등중학교·용덕고등중학교 외에 각급 학교가 있다. → 낙원군, 신포시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홍원읍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함경남도지』(함경남도지편찬위원회, 1968)
『홍원군지』(홍원군지편찬위원회, 1973)
『지방행정구역발전사』(내무부, 1979)
『이북5도30년사』(이북5도위원회, 1981)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5)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