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윤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수옹(守翁)
영해(領海)
시호
위평(威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25년(세종 7)
사망 연도
1475년(성종 6)
본관
회인(懷仁)
주요 관직
우의정|좌의정|영의정
관련 사건
계유정난
정의
조선 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회인(懷仁). 초명은 우성(禹成). 자는 수옹(守翁), 호는 영해(領海). 홍연보(洪延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용(洪容)이고, 아버지는 홍제년(洪齊年)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0년(문종 즉위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무재(武才)가 있어 특별히 사복시주부를 겸임하였다. 이듬해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통례문봉례랑(通禮門奉禮郎)에 임명되었다.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문종의 명을 받아 『진서(陣書)』를 찬술할 때 좌랑으로서 참여하였다. 그 뒤 문종이 죽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수양대군에게 임금이 어리고 나라가 위태하니 정국(政局)을 바로잡을 큰 일을 일으켜야 된다고 진언(進言)하고는 권람(權擥)을 모사(謀士)로 천거하였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세력인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원로대신을 살해·제거하는 등 계유정난을 일으키자, 이에 적극 가담·협력하였다. 그 공으로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된 데 이어, 사복시판관·장령을 거쳐 1455년 판사복시사가 되었다.

세조 즉위 후 예조참의에 임명되고, 세조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그리고 참판으로 승진하면서 인산군(仁山君)에 봉해졌다. 1457년(세조 3) 예조판서·경상우도도절제사, 1459년 다시 예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듬 해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 女眞)이 반란을 일으키자 대장(大將) 신숙주(申叔舟)의 부장(副將)이 되어 이를 토벌하였다. 1467년 우의정, 1469년(예종 1) 좌의정에 올랐다. 그 해에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영의정에 올랐다. 그리고 다음 해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에 진봉되었다.

1471년(성종 2) 성종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성질이 사나워 권세를 얻은 뒤에는 다른 사람을 능멸하고, 가노(家奴)를 놓아 사람을 죽이는 일까지 있었다. 그러나 세조는 그가 정난(靖難)의 원훈(元勳)이라는 이유로 단지 책망만 할 뿐 처벌하지 않았다. 시호는 위평(威平)이다.

참고문헌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기문(大東奇聞)』
집필자
이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