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부고취 ()

목차
국악
개념
조선시대 궁중의 예식에서 임금의 거둥 때 수레의 뒤를 따르며 음악을 연주하던 악대.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예식에서 임금의 거둥 때 수레의 뒤를 따르며 음악을 연주하던 악대.
내용

시대에 따라 악기 편성법과 음악에 차이가 있다. 중궁고취(中宮鼓吹)에는 후부고취가 없다. 『악학궤범』에 의하여 성종시대의 후부고취의 편성법을 소개하면 (그림 1)과 같다.

고려 때는 임금의 수레 뒤에는 대개 취라군(吹螺軍)이 따랐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위와 같은 후부고취가 있었는가 하면, 선조 이후로는 많은 변천이 있었다.

1701년(숙종 27)의 통신사행렬도에는 행렬 뒤의 악대를 세악수(細樂手)라 하여 해금·장구·적·피리로 편성되었고, 영조 초의『종묘개수도감의궤』의 후부고취는 당비파·피리·해금·장구·적·피리·당비파 순의 횡대 2열로 되어 있었으며, 1763년(영조 39)『계미수사록(癸未隨槎錄)』에는 세악수라 하여 악공(樂工) 6인으로 되어 있다.

1926년 김석태(金錫泰)의 「조선열성조능행도」에 보이는 어전 세악수의 악기 편성은 (그림 2)와 같다. 이와 같이 고취악은 시대에 따라 서로 달랐으며, 타악기 위주가 아니고 피리·적 등 가락악기가 중심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계미수사록』
『악학궤범(樂學軌範)』
『종묘개수도감의궤(宗廟改修都監儀軌)』
『통신사행렬도(通信使行列圖)』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