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사 영산회상도 ( )

목차
회화
작품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
내용

도상은 봉은사괘불(奉恩寺掛佛, 1886년), 불암사괘불(佛巖寺掛佛, 1895년), 고양군흥국사괘불(高陽郡興國寺掛佛, 1902년) 등과 같은 삼존도 형식으로 간략하다.

본존불은 석가불이면서 아미타불의 구품인을 짓고 있고, 좌우 협시보살은 각각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다. 협시보살은 본존보다 앞으로 선 어색한 원근법을 보여 주고 있다.

본존의 형상은 옆으로 퍼진 듯한 얼굴,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의 큼직한 정상 계주(頂上髻珠)와 중앙 계주(中央髻珠), 딱 벌어진 두 어깨, 의문(衣文 : 옷자락 무늬)의 요철법(凹凸法)을 볼 수 있다.

얼굴과 두 손에 비해 유난히 넓은 어깨가 비현실적으로 보일 뿐 전체적인 비례는 그다지 어색하지 않다. 두 보살은 문수보살과 보현보살로 비정되며, 본존과 유사한 형태로 세모꼴과 타원형의 보관을 각각 쓰고 있다.

이 괘불은 고·순종시대의 양식적인 특징을 볼 수 있다. 의문에 나타난 화려한 장식적인 꽃 문양과 옷주름 선의 요철법의 등장 그리고 밝고 선명한 주홍과 대비되는 짙은 녹색과 군청색의 사용이다.

얼굴의 육색은 황토색에 가까워 매우 화면이 어두워 보인다. 상단의 오색 구름, 하단 연못에 피어오른 연밥과 연꽃 위에 서 있는 삼존불은 마치 극락세계를 연상시키게 하고 있다.

화기에 의하면, 「대영산괘불탱(大靈山掛佛幀)」 1축을 함풍(咸豊) 8년(1858년) 9월 그믐날 조성하기 시작하여 10월 7일에 완성해서 수락산(水落山) 흥국사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시주는 경성(京城) 남부(南部) 다방동(茶芳洞)에 사는 임술생(壬戊生) 경주 김씨가 주상 전하(主上殿下)와 왕비 전하(王妃殿下)의 성수만세(聖壽萬歲)를 빌고, 김씨의 조상과 부모의 명복을 빌고 있다.

괘불 조성의 화사는 금어(金魚)영희(永羲), 등삼(等森)이고, 개금 편수(改金片手)는 영경(永瓊)·쾌웅(快雄)이며, 탱 편수(幀片手)는 응석(應釋)·창화(瑲華)·총윤(總允)·보감(寶鑑)이다.

경반당(慶般堂)응석은 이 흥국사에서 1858년∼1902년에 걸쳐 불화와 괘불 조성에 참여하였고, 보광사·대흥사 등에서 활약하였다. 한봉당(漢峰堂)창화도 역시 경기도 일원에서 활약한 인물로 청룡사·칠장사 등에 그의 작품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서울전통사찰불화』(서울특별시, 1996)
『전통사찰총서 5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 Ⅱ-』(사찰문화연구원, 1995)
『사찰소장괘불조사』Ⅰ(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2)
『기내사원지』(경기도청, 1987)
「조선조 후반기 불화양식의 고찰」(문명대, 『불교예술』12, 동국대학교박물관, 1994)
「조선조 후반기 불화양식의 고찰」(문명대, 『불교예술』12, 동국대학교박물관, 1994)
집필자
이은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