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광주광역시) (())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광역시 동구청
인문지리
지명/행정지명ˑ마을
광주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區).
정의
광주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區).
개관

광주광역시 동구는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서구(西區), 남쪽으로 전라남도 화순군과 남구(南區), 북쪽으로 북구(北區)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1'∼126°54', 북위 35°04'∼35°09'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49.20㎢, 인구는 9만 878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3개 행정동(34개 법정동)이 있고, 구청은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로1(서석동)에 위치하고 있다.

자연환경

동구의 지형은 동북부에 고도 600∼900m 내외의 산지가 있고, 서쪽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구릉지와 평지를 형성하고 있다. 광주천은 동구와 남구의 경계를 따라 흐르고 있으며, 광주천 주변에는 신생대 4기에 퇴적된 충적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동구의 산지 지형은 동부의 장불재에서 서인봉(608m)과 향로봉(364m)을 거쳐 장원봉(386m)으로 이어지는 동북방향의 능선과 바랑산(316m)을 거쳐 화산(222m)을 지나 노적봉(235m)으로 이어지는 동남방향의 능선이 있고, 이 사이에 광주천이 발원하여 흐르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황해 연안을 흐르는 제주 해류(황해 해류) 및 남서쪽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전남평야와 노령산지의 경계지대에 위치하여 양 지역의 점이형(漸移型)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3.6℃이며, 1월 평균기온 -0.0℃, 8월 평균기온 26.1℃로 연교차(年較差)는 26.2℃이다. 강수량은 연중 총량 1289㎜로, 3∼5월에 18%, 6∼9월에 59%의 비가 내리며, 연 강수일은 133일 정도이다.

바람은 북서풍과 서풍이 많으며, 여름철에는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는 무등산지의 영향으로 남풍과 서풍이 많다. 계절풍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는 북서계절풍, 여름에는 남서계절풍이 분다.

역사

동구의 산수동·지산동에서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편과 석기류 등이 발견되어 그 이전에도 이곳에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광주 지역은 백제시대에 노지현(奴只縣)이라 하였다가 이후 무진군(茂珍郡)이라 불렀고, 통일신라시대에 무진주(武珍州)가 되었으며, 757년부터 무주라고 부르게 되었다. 892년 견훤은 이곳에 후백제를 세웠다.

고려시대인 940년(태조 23) 무주를 광주로 고쳤고, 이후 해양현, 익주, 광주목, 화평부, 무진주, 광주목 등으로 이름이 자주 바뀌었다.

1430년 광주목이 무진군으로, 1451년 다시 광주목으로, 1489년 광산현으로, 1501년 다시 광주목으로 강등과 승격이 자주 발생하였다.

1896년 광주군에 전라남도 관찰부를 두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은 15면 152리를 관할하게 되었는데, 동구 지역은 광주면과 지한면에 속하게 되었다. 1917년 광주면이 지정면으로 승격된 뒤, 1931년 광주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35년 광주부로 승격하였다.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광주부가 광주시로 개칭되었고, 1966년 1월 8일 계림1구가 계림1·3구로 분동 되었으며, 1970년 6월 29일 산수2동, 서석2동, 학3동, 학운동이 분동 되었다.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에 따라 동구와 서구를 두게 되었고, 1979년 산수2동이 산수2·3동으로, 1979년 지산동이 지산1·2동으로 분동 되었다.

1980년에는 북구가 신설되면서 행정구역이 조정되어 동구 관할의 양림·방림1·2동이 서구에 편입되었다. 이후 1985년 서석1·2동이 통합되어 서석동이 만들어졌다.

1994년 동구 청사를 현재의 동구 서남로1(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1)로 이전하였고, 1998년 행정동 통폐합으로 대금·충수·대의·충금·삼성동이 충장동으로, 동명1·2동이 동명동으로, 계림1·2동이 계림1동으로, 계림3동이 계림2동으로, 산수1·2동이 산수1동으로, 산수3동이 산수2동으로, 남금·서석동이 서남동으로, 학1·2동이 학1동으로, 학3동이 학2동으로 변경되었다.

유물·유적

동구 지역의 국가지정 문화재는 광주지산동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증심사철조비로사나불좌상(보물, 1963년 지정), 『금계일기』(보물, 1963년 지정), 광주약사암석조여래좌상(보물, 1975년 지정) 등 5점이 있고, 시지정 문화재는 증심사삼층석탑(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72년 지정), 광주재명석등(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86년 지정), 전남도청회의실(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86년 지정), 증심사오백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89년 지정), 증심사석조보살입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89년 지정), 전라남도도청회의실신축설계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97년 지정), 회재유집목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96년 지정) 등이 있다.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는 판소리고법(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시지정 무형문화재는 남도창동편제(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1993년 지정), 악기장(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1995년 지정), 화류소목장(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1996년 지정) 등이 있다.

시 기념물로는 허백련춘설헌(광주광역시 기념물, 1986년 지정), 오지호가(광주광역시 기념물, 1986년 지정), 학동느티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1994년 지정) 등이 있다.

이밖에 문화재자료는 증심사(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약사암(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운림동석실고분(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9년 지정), 광주읍성유허(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94년 지정) 등이 있다.

교육·문화

동구 지역의 교육기관으로는 2015년 현재 초등학교 10개교,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5개교가 있으며, 조선이공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조선대학교가 있다. 도서관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도서관, 중앙도서관, 시립 산수도서관 등이 있다.

의료시설로는 종합병원 3개, 병원 3개, 의원 141개, 특수의원 1개, 치과병(의)원 55개, 한방병원 1개, 한의원 27개, 부속의원 3개, 보건소 1개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여성복지시설인 우리집 1곳, 아동복지수용시설인 일맥원, 성빈여사, 무등육아원, 영신원, 무등자립관, 영아일시보호소 등 6곳이 있으며, 무료양로시설인 이일성노원과 천혜경노원, 장애인복지시설인 행복재활원과 행복요양원, 노인여가복지시설인 노인복지회관 등이 있다. 이밖에 경로당 83개, 노인교실 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동구 청소년수련관에 수련관과 문화의 집이 있고, 체육시설은 실내체육관 1곳, 수영장 1곳, 종합체육시설 1곳이 있다.

한편 동구의 문화공간으로는 공공 공연장 3개, 일반 공연장 3개, 영화관 38개가 있고, 전시실로 미술관 3개, 화랑 12개가 있으며, 지역문화 복지시설인 복지회관 2곳, 청소년회관 1곳, 문화원 1곳, 국악원 2곳이 있다.

예술의 거리는 1987년 광주 동부경찰서 앞에서 중앙로에 이르는 300m 구간이 지정되어 있는데, 1980년대 초 화랑을 겸한 표구점들이 하나 둘 들어서기 시작하여, 현재 약 60여 개의 예술 관련 업소가 자리 잡았다. 화랑과 화방을 비롯해 필방, 골동품 가게, 미술·국악 관련 학원, 전통 음식점 및 전통 찻집, 미술 전시관, 작가의 작업실 등이 즐비하다. 이곳은 매주 일요일이면 차량 통행을 금지하여 각종 문화행사를 자유롭게 개최할 수 있다.

민속

동구 지역의 전통 행사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 현재의 서남동 지역인 남금동 제봉로 사거리에 있던 500년 된 느티나무 앞에서 벌어지는 동제와 무등산 용연과 무등산 신사에서 지내는 용연기우제, 용연당산제 등이 있다.

설화·민요

동구에는 계림동에 있었던 경양지(景陽池)와 관련된 설화와 전설이 많이 남아 있고, 금남군 정충신 장군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경양지는 조선 세종 때 김방 목사가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일터를 돌아보던 김방이 홍수 때 개미를 살려주고 보은을 받아 부자가 되어 경양지를 만들었다는 이야기, 인색하기로 소문난 김부자가 흉년에도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을 돌보지 않아 불길한 일을 겪었는데, 어느 날 꿈속에서 연못을 만들라는 꿈을 꾸고 속죄의 뜻으로 만들게 되었다는 이야기 등이 전해지고 있다.

금남군 정충신과 관련된 이야기는 광주목사 권율과 관련한 이야기, 이괄의 난을 물리친 이야기 등이 전해지고 있다.

산업·교통

주요 사업체로는 2008년 현재 도·소매업 4764개, 숙박 및 음식점업 2925개, 제조업 1306개 등 충장로, 금남로를 중심으로 관내 총 1만 5493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금융 및 보험업 422개, 교육서비스업 696개 등 사업, 유흥, 업무, 교육 시설 등이 집중되어 있어 광주 산업의 심장부 역할을 해왔다.

지역 특산물로는 춘설차와 진다리 붓이 있다. 둥글고 덕스러워 예로부터 차등이 없는 산이라고 불린 무등산에 있는 신묘한 구름과 같다 하여 이름 붙여진 춘설차는, 매년 5월 참새의 혀와 같이 생긴 새순을 따서 까다로운 선별 절차를 거쳐 생산되며, 붓 중에서도 서예가들에게 특히 인정받고 있는 진다리 붓은 그 전통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이어져오고 있다.

교통은 15번 국도를 통해 화순군과 담양군을 연결하고 있고, 제2순환도로가 개통되어 남구 방향으로 나주시와 연결되며, 북구 방향으로는 호남고속국도와 연결되고 있다. 또한 광주지하철 1호선이 동구와 서구를 연결하는 축으로 기능하고 있고, 광주 도심 방향으로 편리한 교통을 제공하고 있다.

관광

동구의 관광자원은 무등산을 중심으로 한 자연자원과 사찰, 도심의 인공자원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구와 북구, 전라남도 담양군과 화순에 걸쳐 있다. 동구의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 약사암(藥師庵), 춘설헌(春雪軒) 등이 있다.

증심사는 광주 지역의 대표적인 불교 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데,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가 517년에 세운 사찰이다.

약사암은 증심사 입구에서 새인봉 쪽을 향해 오르는 길에 자리 잡고 있다. 원래 인왕사(仁王寺)라 불렀다 하며, 철감선사가 증심사를 세우기에 앞서 세웠다고 전해진다.

운림동에 소재한 춘설헌은 남종화(南宗畵)의 거두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이 해방 직후 타계할 때까지 작품 활동과 후진 양성에 힘썼던 곳으로, 그가 재배한 춘설차는 이 지역 특산물로 남아있다.

지산유원지는 광주 시내에서 2㎞ 정도 떨어진 무등산 아래의 총 34만 5000여 평 규모로 이루어진 커다란 놀이터이다. 향로봉에는 전망대인 팔각정이 있어 시내 전체를 내려다볼 수 있으며 전망대와 유원지 사이로 리프트카와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동(洞)
  1. 충장동(忠壯洞)

조선 후기 광주군 성내면, 공수방면, 기례방면, 부동방면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면이 되었고, 1930년 광주읍으로, 1935년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며, 1949년 광주시로 개칭되었다.

1952년 충금동, 충수동, 삼성동, 대의동, 대금동으로 되었다가 1998년 5개동을 통합하여 충장동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관할 지역은 대인동, 장동, 궁동, 대의동, 금남로1∼5가, 충장로1∼5가, 불로동, 황금동, 호남동, 수기동이다.

충장동은 광주 상권의 모체로써 상가와 금융기관 등 다중이용시설 밀집 지역이며, 금남로, 중앙로 등 주요 간선 7개 도로가 통과하는 교통혼잡지역이다. 또한 충장로, 황금동을 중심으로 상가 및 식품위생업소 가 집중되어있어, 유동인구 및 경제활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동부소방서, 대인시장, 광주세무서, 동부경찰서, 광주일보, 롯데백화점 등이 있다.

  1. 동명동(東明洞)

조선 후기 광주군 편방면에 속했으며, 1914년 서방면 동계리가 되었고, 1914년 광주면 동계리로, 1930년 정(町)으로 통일할 때 동정과 욱정으로 분리되었다.

해방 후 일제 잔영을 없애기 위해 동정1구를 동명동, 동정2구를 문장동으로 개칭하였으나 1947년 동명동으로 확정되었다. 1973년 동명동1구와 동명동2구의 명칭을 각각 동명1동과 동명2동으로 개칭하였고, 1998년 동명1동과 동명2동을 통합하여 동명동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도심에서 가장 가까운 고급 주택가로 금호문화회관, 광주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중앙도서관, 노인복지회관 등 교육 및 사회복지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도시기반 시설이 취약한 관계로 빈부의 격차가 심하며, 계림5거리 부근 나무전거리에는 목재상 50여 개가 밀집되어 있다.

  1. 계림동(鷄林洞)

조선 후기 광주군 경양면, 구한말 서양면에 속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서양면과 두방면을 합해 서방면이 되었으며, 1935년 광주부 소화정(昭和町)이 되었다.

1946년에는 경호동, 1947년 계림동으로 개칭되었다. 1966년 계림동 11구에서 3구가 분동 되었고, 1973년 계림1·2·3동으로 개칭하고 동구에 편제되었다. 1998년 행정동 통·폐합으로 계림1동과 계림2동을 계림1동, 계림3동을 계림2동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계림동 505번지 일대의 경양방죽이 1969년 매립되어 주택이 들어섰다. 중앙로, 무등로, 경양로, 구성로, 중흥로를 끼고 있는 교통의 중심지로 도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대인시장과 영세민 밀집 지역으로 건물과 하수도 등 도시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재개발이 요청되는 지역이다.

  1. 산수동(山水洞)

조선 후기 광주군 편방면에 속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서방면 관할이 되었고, 1935년 광주읍 산수정이 되었으며, 1947년 산수동으로 개칭되었다.

1970년 산수1·2동으로 분동 되었고, 1979년 산수2동이 산수2·3동으로, 1998년 산수 1·2동이 산수1동, 산수3동이 산수2동으로 통폐합되었다.

1970년대 초 주택지로 개발되면서 시가지로 변하여 산수오거리가 그 중심지가 되었고, 무등산장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저소득 계층의 밀집과 도심 속의 미로형 골목 형태 지역으로 단독주택들이 많은 지역이다.

  1. 지산동(芝山洞)

조선 후기 광주군 편방면에 속했으며, 1914년 서방면 동계리, 1935년 광주읍에 편입되어 지산정이 되었고, 1947년 지산동과 산수동으로 분동 되었다. 1979년 지산동은 지산1동과 지산2동으로 분동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등산 서쪽 장원봉에서 향로봉, 깃대봉으로 이어지는 서사면에 위치하고 있고, 신양파크호텔, 무등파크호텔, 지산유원지 등이 위치한 관광위락시설 지구이다.

법원과 검찰청이 소재하여 변호사, 법무사가 집중된 지역이다.

  1. 서남동(瑞南洞)

조선 후기 광주군 성내면과 부동방면, 1930년 서석정과 남정에 속했고, 1947년 남정은 광산·남·금동으로, 서석정은 서석동으로 분동 되었다. 1952년 광산·남·금동은 남금동으로, 1970년 서석동은 서석1·2동으로 분동 되었고, 1985년 서석1·2동이 서석동으로 통합되었으며, 1998년 남근동과 서석동이 합쳐져 서남동이 되었다.

구 전남도청, 노동청, 동구청 등 행정기관이 소재하고 있는 호남 행정의 중심지였다. 구 시청 사거리 부근의 중심상업지역과 남동의 인쇄업 밀집 지역, 금·서석동의 일반 주거지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조선대학교, 서석초등학교, 대성학원, 양영학원 등이 위치한 학원밀집 지역이기도 하다.

  1. 학동(鶴洞)

조선 후기 광주군 부동방면에 속했고, 1914년 광주면과 지한면으로, 1923년 광주면에 편입되었다. 1930년 학강정, 1947년 학동으로 개칭되었다. 1948년 학동을 학동1·2·3구로 분할되었고, 1952년 학동1·2구가 학동1구로, 학동3구는 학동2구로 변경되었다. 1970년 학동2구가 학2·3동으로 분동 되었으며, 1998년 학1·2동이 학1동, 학3동이 학2동으로, 2002년 학1·2동이 학동으로 통합되었다.

과거에는 남광주역이 있어 수십 년 간 광주 인근의 중소도시에서 모여드는 교통의 관문이었으며, 지금은 광주 지하철이 관통하면서 역사가 2개소나 있어 역세권 교통의 요충지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지하철 개통, 주거환경개선사업, 남광주시장의 현대화 등 도시기반 확충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의료시설로 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치과대학이 있다.

  1. 학운동(鶴雲洞)

조선 후기 광주군 지한면과 부동방면에 속했고, 1914년 광주군 지한면, 1935년 광산군 효지면,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어 운림동이 되었다. 1957년 학동2구가 되었고, 1970년 학동에서 분리되어 학운동이 되었다.

무등산의 어귀에 위치하고 증심천이 흐르고 있어 산수가 수려한 학운동은 도·농복합지역으로 아파트 거주 인구가 전체 인구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광주시민의 휴식처인 증심사 계곡, 의재 허백련 선생이 작품 활동을 했던 춘설원과 차밭이 있으며, 무등산 등산로 주변에 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1. 지원동(池元洞)

조선 후기 광주군 지동과 부동방면에 속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 지한면, 1935년 광산군 효지면 관할이 되었으며, 1955년 광주시로 편입되었다. 1973년 동구에 편제되었고, 2002년 지원동이 지원1·2동으로 분동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남쪽은 광주천, 북동쪽은 무등산 자락이 이어진 친환경적 지역으로, 과거 영세 주거지역이었으나 주거환경 개선 사업과 지하철 개통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광주의 4대 관문의 하나인 남문로를 중심으로 제2순환도로와 지하철 소태역, 녹동역이 연결되어 있어 교통의 요충지가 되고 있다.

관할 지역은 소태동, 용산동, 월남동, 내남동, 선교동, 용연동이다.

참고문헌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한국지리지』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04)
『민속지』(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1)
『문화유적』(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1)
『광주·전남의 역사』(무등역사연구회, 2001)
『광주의 자랑』(광주광역시, 2001)
『광주의 재래시장』(광주민속박물관, 2001)
『광주의 민요』(광주민속박물관, 1999)
『광주역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8)
『광주시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광주동연혁지』(한국향토문화진흥원, 1991)
『광주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 1990)
『광주의 전설』(광주직할시, 1990)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광주광역시 동구(www.donggu.gwangju.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