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황사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미황사 괘불탱
해남 미황사 괘불탱
회화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미황사에 봉안되어 있는 괘불.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미황사 괘불탱(美黃寺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2년 07월 03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247번지 미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미황사에 봉안되어 있는 괘불.
개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이 괘불은 1727년(영조 3)탁행(琢行)·설심(雪心)·희심(喜心)·임한(任閑)·민휘(敏輝)·취상(就詳)·명현(明現) 등의 화승(畵僧)이 조성한 것으로, 본존석가불을 크게 강조하고 좌우 아랫부분에 용녀와 용왕을 조그맣게 묘사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2002년 7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괘불의 크기는 길이 1170㎝, 너비 486㎝이다. 입상으로 표현된 본존은 손바닥을 위로 한 왼손을 배 중앙에 위치시키고 오른손은 내려 땅을 가리키고 있다. 머리는 형식화되고 간략하게 윤곽선만 표현된 나발(螺髮)에 뾰족한 육계를 지녔으며, 중앙 계주와 정상 계주가 큼직하게 묘사되어 있다. 둥근 얼굴은 다소 처진 눈썹에 눈·코·입·귀가 작게 표현되었다.

불의(佛衣)는 대의(大衣)가 양쪽 어깨를 덮고 있으나 오른쪽 팔과 가슴은 넓게 드러나도록 묘사되었고, 승각기가 반원 형태로 표현된 것이 특징적이다. 대의를 장식하고 있는 격자무늬는 18세기 후반 그림에서 자주 보이는 문양이다. 광배는 좌상으로 묘사된 불화에 자주 보이는 이중의 윤광(輪光)이며, 두광(頭光) 좌우로 각각 작은 삼존의 화불(化佛)이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본존석가불을 크게 강조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양발을 떠받치고 있는 연화의 족좌(足座) 주변에 연화당초가 묘사된 것이 특징적이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적색의 밝은 선염(渲染)과 녹두색·분홍색·황토색이 사용되어 은은하면서도 환상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수준작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조선조 불화의 연구』(문명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