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퇴화 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주박 )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주자.
이칭
이칭
청자퇴화표형주자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자 퇴화선문 표주박모양 주전자(靑磁 堆花線文 瓢形 注子)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4년 03월 03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의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주자.
개설

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려 시대 청자 주자(注子)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그 중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는 주자들을 표형(瓢形) 주자라고 부른다. 퇴화기법은 점력이 강한 백토(白土)나 자토(紫土)를 이용하여 점을 찍듯이 시문하거나 두꺼운 면이나 선을 그리는 기법으로, 그 발생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 고려 전기경에 나타나는 장식기법으로 상감기법보다 조금 이른 시기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내용

이 주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표주박을 연결시켜 놓은 형태이지만, 양감이 균형 있게 표현되어 있어 안정감이 느껴진다. 뚜껑은 유실되어 원래 모양을 알 수 없지만 뚜껑과 맞닿는 부분을 수직상태로 눌러서 여섯 개의 선을 장식하였다. 몸체에는 음각이나 상감 등 별다른 문양없이 형태와 색상만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단지 주구(注口)와 손잡이에만 음각과 퇴화로 장식되어 있다. 주구와 손잡이 모두 대나무를 형상화하여 별도로 제작한 후 몸체에 부착한 것으로 가늘고 섬세한 음각선으로 마디를 표현하고, 선을 강조하듯 마디마디에 작은 백퇴화(白堆花) 점을 찍어서 장식하였다. 이러한 퇴화기법은 간혹 상감이나 철화와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실제로 이들 기법과 혼용되어 시문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실물을 보면 상감이나 음각과 달리 퇴화는 시문 부위가 볼록 튀어나와서 식별이 가능하다. 대나무 밑 부분에는 어린 죽순을 표현하였고, 손잡이에는 줄기를 꼬아 놓은 듯한 형태로 고리를 만들었다. 이 작은 고리는 뚜껑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래 이 주자에는 뚜껑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고려시대 대부분의 주자에는 이러한 연결고리가 있다. 이 표형 주자는 밖으로 벌어진 높은 굽을 가지고 있는데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바닥의 접지면에는 백색의 내화토빚음을 받쳐 구운 흔적이 있다.

특징

이 주자는 안정된 기형과 더불어 엷은 녹색을 띠는 맑은 회청색 유약이 시유되어 비색(翡色)의 아름다움과 귀족의 기품을 한껏 뽐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당당하고 안정된 기형에 유려한 곡선이 지닌 형태의 주자로, 비색의 맑은 유색과 최상의 태토로 만든 기품 있는 12세기의 청자이다. 고려 시대 도자기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토기·청자』1·2(최건 외, 예경, 2000)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방병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