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자장 ()

목차
출판
개념
조선시대 교서관에 소속되어 활자 조판 업무를 맡았던 장인.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교서관에 소속되어 활자 조판 업무를 맡았던 장인.
내용

조선시대의 교서관에 소속된 장인으로 활자본을 간행할 때 창준(唱準)이 불러주고 수장제원(守藏諸員)이 꺼내준 활자를 인판(印版)에 배열한 후에 배열된 인판의 활자 사이에 공목(空木), 대나무조각(竹片), 파지(破紙) 등을 이용하여 활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쉽게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을 말한다.

활자 인쇄에 있어서 균자장(均字匠)의 역할은 판심(版心) 부분의 어미(魚尾)와 판심제(版心題), 권차(卷次), 장차(張次)의 활자를 배열하고, 공목(空木)을 끼워 공간을 확보한 뒤 철우리(鐵亐里) 내 활자 높이·활자간격, 활자와 동인찰(銅印札: 界線)과의 간격을 젖은 종이, 자간박기(字間朴只: 나무·대나무 조각) 등을 끼워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활자가 없는 부분은 공목(空木: 靑竹 등을 사용)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 때 행간(行間)과 각 글자의 상하 폭이 일정하도록 행간 폭의 기준자나 별도의 자를 만들어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느 정도 판짜기를 마치면 고르게를 이용하여 판면을 일정하게 고른다.

활자의 조판이 완성되면 인출장(印出匠)이 인면에 먹을 바르고 시험 인쇄를 하며, 감교관(監校官)이 첫 인출지(印出紙)에 의거하여 글자의 교정과 인쇄의 상태를 점검한다.

시험 인쇄를 마친 후 세보(洗補)에 의하여 주묵(朱墨)으로 교정된 부분에 따라 균자장이 판과 활자를 고친다. 일반적으로 초견(初見), 재견(再見), 삼견(三見)을 거치고 이때 담당자를 표기한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선조(宣祖) 6년 3월 정유조(丁酉條)
『일성록(日省錄)』정조(正祖) 5년 3월 무술조(戊戌條)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별집(別集)」 14권(卷) 주자(鑄字)
『용재총화(慵齋叢話)』권(卷)7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仁祖) 3년 10월 병신조(丙申條), 인조(仁祖) 4년 7월 경인조(庚寅條)
『서하집(西河集)』권(卷)10 계사(啓辭) 교서관청득미포지지광인서적계(校書館請得米布紙地廣印書籍啓)
『삼연집(三淵集)』권(卷)24 잡저(雜著) 선집인역장인연음시소기(先集印役匠人宴飮時小記)
집필자
남권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