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모양 돌칼 ( 돌칼)

선사문화
유물
청동기시대 돌칼 가운데 삼각모양을 이루고 있는 석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청동기시대 돌칼 가운데 삼각모양을 이루고 있는 석기.
개설

청동기시대의 늦은 시기에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새롭게 등장한 석기 형식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출토된 사례가 없다. 전체적인 형태는 삼각모양을 이루며,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쪽에 2개의 날이 교차되어 있다. 구멍은 2개 또는 1개가 뚫려 있는데, 여기에 끈을 끼워 손에 잡고 날 부분을 지레의 작용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이삭을 딴다.

내용

한반도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송국리문화(松菊里文化) 관련 유적에서만 확인된다. 삼각모양돌칼이 출토된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송국리유적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도 동일한 문화상을 보이는 다수의 유적에서 거의 예외 없이 이러한 형식의 돌칼이 출토되고 있다.

송국리문화는 논농사에 의한 생계경제 방식의 전환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따라 농경도구인 돌칼의 사용량도 증가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제작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것이 삼각모양돌칼이다. 날이 직선적이어서 제작과 재가공이 용이하며, 날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삼각모양돌칼의 교차된 2개의 날은 항상 일정한 방향을 이루고 있는데, 모두 왼손잡이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오른손잡이용이라 할 수 있다. 만약 돌칼의 생산이 자급적이라면 왼손잡이용도 소수이지만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출토 사례가 없어, 어느 정도 전문적인 제작 집단에 의해 오른손잡이용으로 대량생산체제가 갖추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의의와 평가

삼각모양돌칼은 송국리문화 단계의 대표적인 농경도구로, 논농사를 중심으로 한 해당 시기의 농경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한정된 시간성과 지역성을 갖고 있어 출토 유적의 시기와 성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형식이기 때문에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독자성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손준호, 서경, 2006)
「고배율 현미경을 이용한 반월형석도의 사용흔 분석」(손준호·조진형,『야외고고학』1, 2006)
「삼각형석도의 일연구」(김상면,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