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의 늦은 시기에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새롭게 등장한 석기 형식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출토된 사례가 없다. 전체적인 형태는 삼각모양을 이루며, 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쪽에 2개의 날이 교차되어 있다. 구멍은 2개 또는 1개가 뚫려 있는데, 여기에 끈을 끼워 손에 잡고 날 부분을 지레의 작용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이삭을 딴다.
한반도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송국리문화(松菊里文化) 관련 유적에서만 확인된다. 삼각모양돌칼이 출토된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송국리유적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도 동일한 문화상을 보이는 다수의 유적에서 거의 예외 없이 이러한 형식의 돌칼이 출토되고 있다.
송국리문화는 논농사에 의한 생계경제 방식의 전환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따라 농경도구인 돌칼의 사용량도 증가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제작 및 사용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것이 삼각모양돌칼이다. 날이 직선적이어서 제작과 재가공이 용이하며, 날을 번갈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삼각모양돌칼의 교차된 2개의 날은 항상 일정한 방향을 이루고 있는데, 모두 왼손잡이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오른손잡이용이라 할 수 있다. 만약 돌칼의 생산이 자급적이라면 왼손잡이용도 소수이지만 존재해야 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출토 사례가 없어, 어느 정도 전문적인 제작 집단에 의해 오른손잡이용으로 대량생산체제가 갖추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삼각모양돌칼은 송국리문화 단계의 대표적인 농경도구로, 논농사를 중심으로 한 해당 시기의 농경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한정된 시간성과 지역성을 갖고 있어 출토 유적의 시기와 성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형식이기 때문에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독자성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