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

시위
시위
사회구조
개념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시도하는 공개적이고 집합적인 의사표현행위.
정의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시민에게 알리기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시도하는 공개적이고 집합적인 의사표현행위.
개설

시위는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고 공익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다. 공익관련 시위는 사회운동의 행위양식 가운데 하나로 이해되기도 한다. 시위는 문제해결과 관련된 정부기구, 기업 혹은 여타 집단들에 대한 영향력 행사나 여론동원의 수단으로 시도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도로, 광장, 공원 등의 장소를 택한다. 대부분의 시위는 개별 참여보다는 집단이나 조직중심으로 주도되는 경향이 있고 오늘날은 온라인 매체를 통한 참여와 동원이 일반화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전통사회에서는 ‘만인소’(萬人疎)와 같은 집단상소나 성균관 유생들의 권당(捲堂), 공관(空館) 등이 주요 시위방식이었다. 그리고 서원철폐 반대시위와 같은 대규모 시위도 있었다. 근대의 대중시위는 1898년 제국주의침략 반대와 민권신장을 요구한 만민공동회(萬民公同會) 시위를 들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3·1운동, 6·10 만세시위, 광주학생시위 등이 있고 해방 이후에는 반탁시위, 4월 혁명기의 시위, 한일회담 반대시위, 3선 개헌 반대시위가 이어졌고, 1980년대는 민주화 시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 여성, 인권, 평화 등 탈근대적 이슈의 시위가 시민단체의 주도로 일상화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시위, 2002년 미선이 효순이 추모 촛불시위,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반대시위,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 등이 새로운 시위형태로 주목되었다.

내용

시위는 특정의 계층집단이나 직업집단이 주도하는 경우가 많고 목적에 따라 반대, 규탄, 지지 등의 성격을 띤다. 가장 일반적 형태는 가두행진이지만 연좌, 점거, 농성, 삭발, 단식, 장례, 화형식, 그리고 최근에는 촛불시위, 1인 시위, 삼보 일배 등의 행위양식이 각종 문화제와 함께 다양화되었다. 시위는 불법시위와 합법시위 혹은 폭력시위와 평화시위로 구분되기도 한다. 전근대 사회에서 시위는 엄격한 신분과 위계의 틀에서 왕이나 지배층에게 탄원하고 호소하는 제한적 의미를 갖는다. 근대 민족국가와 냉전적 질서에서는 민족주의, 민주주의, 민중주의 등을 쟁점으로 하는 조직화된 대중 시위가 주종을 이루었다. 1990년대 이래 탈냉전과 탈근대의 사회변동에 따라 일상적 삶의 문제를 쟁점으로 하는 시위가 확대되었으며 뉴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탈조직적 동원과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위참여 방식이 주요경향으로 등장했다.

현황

1980년대 말까지의 민주화시위 이후 최근 약 20년간 시위주도층은 사무 관리직, 생산직, 청년학생, 지역주민 및 소비자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부문 종사자나 장애인, 여성, 외국인 노동자의 시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쟁점별로는 정치이슈가 58.5%, 경제관련 이슈가 41.5%를 차지한다. 시위의 대상 또한 정부, 국회, 정당 등의 정치권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시위가 압도적이다. 시위규모로는 200명 이하가 과반을 차지하고 2,000명 이상의 시위도 15.4%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시위기간이 길수록 요구수용률이 훨씬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의의와 평가

오늘날 시위는 시민의 보편적 권리이기 때문에 그 허용수준에 따라 해당사회의 민주주의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최근 온라인 네트워크의 확대에 따라 시민사회의 공론장이 크게 활성화된 조건에서 사안에 따라서는 대규모 시위가 쉽게 만들어지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민주화운동사』1·2·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돌베개, 2010)
『한국의 사회운동과 NGO』(조대엽, 아르케, 2007)
「한국 시위의 역사」(강준만, 『인물과 사상』133, 2009)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