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중박물관 ()

목차
회화
단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사립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사립 박물관.
현황

설립자 천신일이 1979년부터 수집한 석물들을 모아 2000년 7월 1일 개관했다. 약 1만 8180㎡(5,500평)의 부지에 13개의 야외 전시관과 1개의 실내 전시관을 갖추고 있으며, 전국에서 수집한 10,000여 점의 석물을 소장하고 있다. 소장 유물은 문·무인석, 석수 등 무덤 관련 유물, 장승과 벅수, 솟대, 망부석, 동자석, 돌하르방 등 무속 관련 유물, 석탑, 석등 등 불교 관련 유물, 연자방아, 뱃돌, 다듬이돌, 우물돌, 돌솥 등 생활사 관련 유물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야외 전시관은 ‘장승관’, ‘벅수관(희로애락의 언덕)’, ‘사대부묘관’, ‘석인관’, ‘지방관’, ‘제주도관’, ‘석수관’, ‘불교관’, ‘석등, 장명등관’, ‘민간신앙관’, ‘생활유물관’, ‘특별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전시관’에는 일본으로부터 환수해 온 석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야외 전시관 사이사이에 쉼터가 마련되어 있고 다듬잇돌로 산책로를 조성해 놓았다. 실내 전시관은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석조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옛돌의 사계절을 주제로 한 창작사진 공모전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작미술공모전을 열고 있다. 또 옛 석조 작품을 지역별, 종류별로 분류·연구하여 학술지를 발행하고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참고문헌

세중박물관(www.sjmuseum.c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