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불도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용문사 천불도
예천 용문사 천불도
회화
개념
장엄겁, 현겁, 성숙겁의 삼겁에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이칭
이칭
천불탱
목차
정의
장엄겁, 현겁, 성숙겁의 삼겁에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내용

과거 장엄겁(莊嚴劫), 현재 현겁(賢劫), 미래 성숙겁(星宿劫)의 삼겁(三劫)에 각각 출현한 1,000명의 부처를 묘사한 그림을 말하며, 보통 천불을 말할 때에는 현겁의 천불, 즉 구류손불(拘留孫佛),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 가섭불(迦葉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미륵불(彌勒佛)부터 누지불(樓至佛)까지의 천불을 말한다. 천불도는 보통 현재 1,000명의 부처만을 그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에 더하여 과거 장업겁에 있는 1,000위(位)의 부처와, 미래 성숙겁에 출현할 1,000명의 부처를 더하여 삼천불(三千佛)을 그리는 경우도 있다. 현재 남아있는 천불도는 용문사(1709년), 선암사(2점, 18세기․1907년), 선운사(1754년)의 탱화와 미황사 대웅전 벽화(18세기)까지 총 5점으로 모두 조선 후기에 그려진 것이다.

천불도는 한 폭에 천불을 모두 묘사한 것과 여러 폭에 천불을 나누어 그린 형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용문사 천불도(1709년)와 선암사 천불도(1907년)는 비바시불(毘婆尸佛)․시기불(尸棄佛)․비사부불(毘舍浮佛)․구류손불(拘留孫佛)․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가섭불(迦葉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로 구성된 과거칠불(過去七佛)이 천불과 함께 한 폭에 모두 그려진 형식이다. 선운사 천불도(1754년)의 경우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阿彌陀佛)과 약사불(藥師佛)로 이루어진 삼세불(三世佛)과 과거칠불을 포함한 130명의 부처를 그려낸 주불도(主佛圖) 1폭과 210명의 부처를 그린 2폭, 225명의 부처를 그린 2폭으로 구성하여, 총 5폭에 천불을 나누어 그렸다. 벽화로 그려진 천불도는 미황사가 유일한데, 대웅전 대들보와 공포대 위 벽면 약 23개의 공간에 정확히 1,000명의 부처가 나뉘어 그려져 있다.

천불도는 보통 같은 격의 부처를 나열하듯이 그려낸 단순한 화면구성을 보여주는데, 선암사 천불도(1907년)와 같이 화면을 크고 작은 원을 사용해 구획을 나누고 그 안에 천불을 나누어 그린 예도 있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미황사 대웅전 단청모사보고서』(미황사,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2008)
「조선후기 다불회도 연구」(고진영, 『불교미술사학』6, 통도사성보박물관․불교미술사학회, 2008)
『실크로드에서 온 천불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벽화전-』(국립중앙박물관, 2006)
「선암사의 불교회화」(김승희, 『미술사학지』Ⅱ,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7)
「千佛圖について」(安田治樹, 『大化文華』106, 大化文華館, 200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