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6-10
불교
문헌
문화재
안성 청룡사에서 당나라의 반자밀제가 번역한 『능엄경』을 1372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이칭
이칭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수능엄경(首楞嚴經), 능엄경(楞嚴經)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1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정의
안성 청룡사에서 당나라의 반자밀제가 번역한 『능엄경』을 1372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개설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요의(要義)를 설한 경전으로,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 『수능엄경(首楞嚴經)』 혹은 『능엄경(楞嚴經)』으로 일컫는다.

『능엄경』은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說)한 경전으로서 한국에서는 주로 선가(禪家)에서 독송 · 연구되었으며, 불교 강원 사교과(四敎科)의 하나로 학습되었던 경전이다. 한문본과 언해본이 여러 차례 간행되어 배포되었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판본도 아주 다양하다. 호암미술관 소장 권6∼권10(보물, 1981년 지정), 권4∼권10(보물, 1987년 지정)과 동일한 판본으로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간행한 한문본이다.

편찬/발간 경위

권10 본문이 끝난 다음에 발문(跋文) 2편과 간기가 있다. 첫 번째 발문은 계환이 주해한 『능엄경』[戒環解楞嚴經]이 송나라에서 처음 간행되던 해인 1129년에 만안비구(萬安比丘) 행의(行儀)가 쓴 것이고, 이어서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비구 즉료(即了)가 쓴 발문 그리고 ‘공덕주(功德主) 대장군김호(大將軍金瑚) 영암군부인최씨(靈巖郡夫人崔氏) 정순옹주이씨(貞順翁主李氏)’라는 발원과 ‘안성청룡사간판(安城靑龍寺刊板)’이라는 간기(刊記)가 있어서 시주자와 간행처를 확인할 수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1책.(권6∼권10)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고, 반곽(半郭) 크기는 19.8㎝×13.1㎝이다. 본문에 계선(界線)은 없고, 13행 22∼23자, 주쌍행(註雙行)으로 되어 있다. 판심은 상하향흑어미, 판심제 ‘능(楞)’에 이어 권차(卷次), 장차(張次)를 표시하고 있다. 잘 드러나지 않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판심은 상하세흑구이며, 하흑구에는 고려본 특유의 원형 어미가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판본으로 호암미술관 소장본 권6∼권10의 1책(보물, 1981년 지정)과 호암미술관 소장본 권4∼권10 2책(보물, 1987년 지정)이 있다. 호암미술관 소장본 권6∼권10(보물, 1981년 지정)은 인쇄상태로 보아 약간 후기에 인쇄한 것이고, 조동기 등이 소장한 판본(보물, 1981년 지정)은 호암미술관 소장본 권4∼권10(보물, 1987년 지정)과 같은 형식으로 초록색 표지에 금니로 서명을 썼다.

그 밖에 서울대 규장각의 가람문고본(가람古貴 294.336-Su72b)에도 동일판본의 권1∼권5가 남아있는데, 이 책은 다른 시기에 간행된 목판본 권6∼권10과 합철되어 있다.

내용

『능엄경』은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요의(要義)를 설(說)한 경전으로 번뇌(煩惱)에 가득찬 마음을 버리고 묘명(妙明)한 마음을 밝히는 것이 그 요지이고, 이를 위한 실천 수행으로 계율을 청정히 지켜 선정(禪定)을 닦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판본은 전래가 매우 드문 고려시대 간본으로서 14세기 불경간행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인쇄문화사적 연구가치가 높다. 중앙관판이 아닌 지방의 사찰에서 간행하였다는 점과 간행시기와 간행주체를 확인할 수 있는 고려간본인 점에서 서지학적 의의가 크고 시대적 상황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2001)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80)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이지관, 보련각, 1973)
집필자
옥영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