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 1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불교
문헌
문화재
1465년 주자소에서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한글 구결 부분만 을유자로 간행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원각경,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7년 04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5년 주자소에서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한글 구결 부분만 을유자로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북인도 고승인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한 것으로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으로 불리는데, 흔히 『원각경』이라고 한다. 이 경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으로 보는 학자가 많고, 문헌학적으로 의문시되고는 있으나, 그 내용이 대승(大乘)의 참뜻을 잘 표현하고 있어 한국과 중국에서 널리 유통되어 왔다. 이 책은 세조 11년(1465)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底本)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주자소에서 을유자(乙酉字)로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다.

편찬/발간 경위

종밀이 소초(疏鈔)한 것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을 단 것을 1465년(세조 11)에 을유자로 인출한 것이다. 을유자의 주조사실은 『용재총화(慵齋叢話)』의 “세조 11년(1465) 『원각경』을 인출하고자 정난종에게 자본(字本)을 쓰게 하여 주조한 활자가 을유자인데, 그 자체가 매우 고르지 않다.”라는 기록과, 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하고 쓴 김종직의 발문에 나타난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서지적 사항

대체적인 형태사항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고, 반광(半匡)의 크기는 19∼20㎝×13∼14㎝로 유계(有界)이며, 6행에 대자13자 소자19자로 되어 있다.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에 판심제는 원각(圓覺)이다. 세조의 명에 따라 정난종(鄭蘭宗) 서체를 자본으로 을유년에 활자를 주조하여 간행한 ‘을유자본(乙酉字本)’이다. 을유자는 세조 11년(1465)에 정난종이 쓴 송설체의 글자를 바탕으로 대자·중자·소자의 동활자를 주조한 것이며 구결을 인쇄하기 위하여 한글활자도 만들었다. 글자의 모양이 바르지 못하여 갑진자 주조시에 이 활자를 녹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전래본이 희귀한 실정이다. 200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서문과 권상일지일(卷上一之一)로 구성된 1책의 결본(缺本)이다. 원각경은 서문, 본문의 상편[일(一)과 이(二)로 구분]과 하편[일(一), 이(二), 삼(三)으로 구분]으로 구성되고, 상일(上一)을 다시 일(一)과 이(二)로, 상이(上二)를 일(一), 이(二), 삼(三)으로, 하편 일(一), 이(二), 삼(三)을 각각 일(一), 이(二)로 다시 분권하였다.

서문은 경 본문에서 설명할 내용을 요약한 글로 「원각경약초서(圓覺經略鈔序)」, 배휴(裵休)의 「원각경약소서(圓覺經略疏序)」, 그의 스승인 규봉종밀(圭峰宗密)의 「원각경서(圓覺經序)」로 이루어져 있다. 종밀의 「원각경서」는 이 경의 특징과 중요성, 그리고 이 주석서의 성립 배경과 이에 얽힌 일화가 밝혀져 있는데 분량이 많아 1책으로 분책되기도 한다.

경의 본문인 상편과 하편은 석가여래가 12명의 보살과 문답을 통해 원각의 묘리(妙理)와 그 관행(觀行)을 설하는 내용이다. 2007년 지정된 보물에 해당하는 상편일지일의 내용은 경의 안목이 되는 문수보살장(文殊菩薩章) 부분으로 여래인행(如來因行)의 근본과 과상(果相)을 설한 것인데, 누구나 본래부터 갖고 있는 원각에 환원하기만 하면 생사가 곧 열반이요 윤회가 곧 해탈이 됨을 가르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을유자는 1465년 을유년에 정난종의 글씨를 글자본으로 주조한 것이다.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을유자판으로 인출되었으므로 구결은 간경도감본 원각경언해와 일치한다. 이 을유자판 원각경은 주로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된 활자로 인출되어 전래본이 많지 않고 초인본이라 인쇄상태도 깨끗하여 귀한 판본에 속하므로 15세기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전적인쇄사』(천혜봉, 범우사, 1990)
「원각경언해 해제」(정우영, 『역주 원각경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옥영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