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1~5 ( ~)

불교
문헌
문화재
조선 전기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세종과 세조 등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1474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정의
조선 전기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세종과 세조 등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1474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개설

중국 양(梁)나라의 진관(眞觀) 등 고승(高僧)들이 편찬한 「자비도량참법(慈悲道場懺法)」을 원나라에 이르러 참법의 내용을 대교(對校)하고 정리하여 상교정본(詳校正本)이라 하였는데, 국내에 도입되어 공민왕 이래 여러 번 간행되어 가장 많이 유통되었다. 이 책은 성종 5년(1474)에 세조의 비(妃) 정희왕후가 세종, 세조 등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한 것으로, 1994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한솔제지(주)의 박물관 뮤지엄 산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중국 남제(南齊)의 경릉왕(竟陵王)이 꿈에서 느낀 바를 적어 21편 30권으로 찬술하였는데, 이 뒤에 양(梁)나라 무제(武帝)가 황후 치씨(郗氏)를 위해 경릉왕이 지은 참법 중 육근문(六根門)에 근거하여 진관(眞觀) 등 제사(諸師)들에게10권의 『자비도량참법』을 편찬하게 하였다고 한다. 세월이 지나는 사이 본문에 착오와 와전이 생겨나자 원나라에 이르러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상교정본(詳校正本)이라는 말을 붙여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이 되었다. 이 책은 국내에 전래된 것을 바탕으로 성종 5년(1474) 세조비(世祖妃)인 정희대왕대비(貞熹大王大妃)의 후원으로 간행된 왕실 발원판(發願版)이다. 발원 내용은 공혜왕후(恭惠王后) 한씨(韓氏)의 명복과 세종, 소헌왕후(昭憲王后), 세조, 의경세자(懿敬世子), 예종(睿宗) 등의 극락왕생을 빌고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1책. 선장본(線裝本). 목판본. 판식을 살펴보면, 책크기는 세로 37.3㎝, 가로 24㎝, 사주쌍변(四周雙邊)이고, 반곽(半郭)크기는 세로 25.4㎝, 가로 18.6㎝이다. 계선(界線)이 있고, 한 면의 행자수는 9행 15자이며, 주쌍행(註雙行)이다. 판심(版心)은 흑구(黑口)에 상하하향흑어미(上下下向黑魚尾)이다. 권말에 간행기록과 발원문은 없으나, 1988년(국립중앙박물관 소장)과 1992년(목아불교박물관 소장) 보물로 지정된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과 함께 간행되었다.

내용

중생이 살아가면서 저지른 원한이나 온갖 죄를 참회법을 통해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하는 영혼천도용(靈魂薦度用)으로 사용되는 의식집이다. 참회의 법회를 수행하여 현생에서 쌓은 죄업을 씻어버리고 화복을 누리고 나아가 망령을 구제하고 고통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고 어둠에서 빛을 찾을 수 있다는 공덕을 발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륵(彌勒)의 몽감(夢感)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자비도량’이라고 이름 지었으며, 양무제가 처음 찬수하였다고 하여 ‘양황참문(梁皇讖文)’, ‘양황보참(梁皇寶讖)’, ‘양무참문(梁武讖文)’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체 10권 가운데 권1~5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1에 귀의삼보(歸依三寶) · 단의(斷疑) · 참회(懺悔), 권2에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에 현과보(顯果報), 권4에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에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에 자경(自慶) · 총발대원(總發大願) · 봉위천도예불(奉爲天道禮佛), 권8에 봉위아수라도일체선신예불(奉爲阿修羅道一切善神禮佛) · 봉위용왕예불(奉爲龍王禮佛) · 봉위마왕예불(奉爲魔王禮佛) · 봉위부모예불(奉爲父母禮佛) · 봉위과거부모예불(奉爲過去父母禮佛)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에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과 발원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불교의식 및 참법 연구를 위한 매우 귀중한 자료이며 불교사 및 서지학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94~’95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6)
문화재청(www.cha.go.kr)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집필자
남권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