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철 ()

정치·법제
인물
북한에서, 국제부 부장, 외무성 부상, 정무원 총리, 국가 부주석 등을 역임한 외교관 · 군인 · 관료.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3년 9월 2일
사망 연도
2008년 10월 28일
출생지
함경북도 길주
관련 사건
항일 빨치산 활동|남북조절위원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에서, 국제부 부장, 외무성 부상, 정무원 총리, 국가 부주석 등을 역임한 외교관 · 군인 · 관료.
개설

박성철은 1913년 9월 경북 경주에서 태어났다. 6·25전쟁 당시 제15사단장, 1953년 민족보위성 정찰국장(중장), 1959년 외무상을 역임했다. 1966년에는 내각 부수상, 1972년 정무원 부총리, 1976년 정무원 총리, 1977년 국가 부주석을 거치면서 북한외교의 1인자로 평가받았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으로 임명된 후 10기까지 대의원직을 역임했으며, 1992년 4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고, 2008년 10월 28일 사망했다.

생애

박성철은 1913년 9월 경상북도 경주(함경북도 길주 태생이란 설도 있음)에서 태어났다. 일본 죠치(上智)대학교를 중퇴하고 일본공산당에 입당한 전력이 있으며, 1935년부터 룡정(龍井)에서 항일운동을 하다 김일성 주석을 만났다. 6·25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제15사단장으로 참전했고, 1953년 9월 민족보위성 정찰국장(중장)직을 마지막으로 전역한 뒤 외교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54년 8월 주 불가리아 공사를 시작으로 1955년 5월 주 불가리아 대사, 1956년 당 중앙위 국제부 부부장, 1956년 10월 외무성 부상, 1959년 10월 외무상을 거치면서 활발한 외교활동과 함께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했다. 1961년 9월 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시작으로 1966년 10월 당 중앙위 정치위원 겸 내각 부수상, 1967년 12월 내각 부수상을 거쳐, 1969년 4월에는 당 중앙위 상무위원에 선임되는 등 당과 내각의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1972년 12월에는 정무원 부총리, 1976년 정무원 총리, 1977년 12월 국가 부주석을 거치면서 북한외교의 1인자로 거듭났다. 그리고 1972년 7·4남북공동성명 발표를 앞두고 그 해 5월에는 서울을 비공식으로 방문해 박정희 대통령을 면담했으며, 1975년에는 북한이 비동맹 회원국이 되는데 산파역할을 했다.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이 되었으며, 1982년 4월 국가부주석, 1986년 12월과 1990년 5월에는 국가부주석 겸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고, 1991년 8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공동의장이 되었으며, 1992년 4월에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

활동사항

박성철은 북한을 대표하는 외교관이었다. 1950년대에는 공사와 대사, 국제부 부장, 외무성 부상, 외무상 등을 역임했다. 그리고 1972년 5월 박정희 대통령과의 면담, 1975년 북한이 비동맹 회원국이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1990년 4월김일성 특사로 아프리카 지역국가를 순방, 1994년 8월 북한대표단을 인솔하여 리비아혁명 25돌 기념행사 참가, 1995년 10월 콜럼비아, 1998년 8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비동맹회의 정상회담에도 참석했다.

상훈과 추모

박성철은 김일성 훈장, 공화국 영웅 칭호, 러시아 조국전쟁승리 60돌 기념메달을 수여받았다.

참고문헌

『북한의 주요인물』(통일부, 2010)
『북한자료ㆍ인명편』(연합뉴스, 1999)
조선일보 인물검색(www.nkchosun.com)
집필자
이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