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직사범대학 ()

평양 김형직사범대학
평양 김형직사범대학
정치·법제
단체
대학교원을 양성하는 북한 최고의 사범교육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학교원을 양성하는 북한 최고의 사범교육기관.
개설

평양시 동대원구역 삼마동에 위치해 있는 김형직사범대학은 해방 이후 북한 지역의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평양교원대학을 모체로 하는 북한 최고의 사범교육기관으로 대학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설립목적

김형직사범대학의 전신인 평양교원대학은 해방 이후 북한 지역의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후 교원양성기관이 분화됨에 따라 김형직사범대학은 북한의 대학교원을 양성하는 5년제 사범교육기관으로 개편되었다.

연원 및 변천

김형직사범대학의 모체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설립된 최초의 교원양성기관인 평양교원대학이다. 평양교원대학은 1946년 10월 1일에 2년제의 교원양성기관으로 설립되었고, 교육학, 력사지리학, 어문학, 수물학, 생물화학, 체육학 등의 학부가 설치되었다. 평양교원대학은 1948년 10월 1일에 4년제 평양사범대학으로 승격되었고, 통신교원대학이 부설되어 력사과, 지리과, 국문과, 로어과, 수물과, 화학과가 설치되었다. 1972년 9월에 평양교원대학은 평양제1사범대학과 평양제2사범대학으로 분리되었는데, 이 중 평양제1사범대학이 1975년 3월 23일 김일성의 부친인 김형직의 이름을 딴 김형직사범대학으로 개칭되었다. 김형직사범대학은 이후 1980년 6월에 대학교원을 양성하는 5년제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현황

김형직사범대학에는 혁명력사학부(혁명력사과, 로작과, 철학과), 교육학부(학년전 교육학과, 교육학과, 심리학과), 어문학부(한문과, 어문학과), 외국어문학부(영어과, 로어과, 교수법과), 력사학부(조선력사과, 세계력사과), 지리학부, 수학학부(대수과, 기하과), 물리학부, 화학학부(무기화학과, 유기화학과, 분석과, 생화학과), 생물학부(동물학부, 해부생리학과, 실험생물학과, 유전학과, 식물학부, 식물분류학과, 식물통계학과, 식물생리학과), 음악학부(이론강좌, 실기강좌), 미술학부(조선화과, 산업미술과, 서예과), 체육학부 및 체육단, 재교육학부 등의 학부 및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현직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3년제 통신학부도 운영되고 있다. 또한 사범교육연구소와 박사원, 체육단, 김일성혁명사상연구실 등 100여개 연구실이 부설되어 있고, 실험실, 실기연습실과 수십만권의 장서를 가진 도서관, 출판사가 갖추어져 있다.

김형직사범대학의 각 학부에는 중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입학하지 않고 군대나 직장생활을 하다가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준비하게 하는 과정인 예비과가 설치되어 있다. 예비과를 포함하여 김형직사범대학은 5∼6년제로 운영된다. 예비과에서는 김일성․ 김정일 혁명력사, 김일성․ 김정일 로작, 현행당정책, 국어,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체육 등 중학교에서 배운 교과를 복습하게 된다. 본과 과정 중 2학년 때부터는 해당학과의 전공 교과와 인접 교과를 세분화하여 집중적으로 이수한다. 전체 교과 중 사상학습 교과와 전공 교과 학습 시간은 각각 전체 비중의 30% 정도이고, 나머지 시간은 교육학 등 교직과목과 체육, 외국어 등 교양과목에 할애된다. 교직과목으로 사회주의교육학, 사회주의아동심리학, 교수법, 학교관리학, 세계교육사 등이 있다. 학생수는 약 4천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의의와 평가

김형직사범대학은 북한의 중등 및 고등교원을 양성하는 기능을 수행해온 북한 최고의 사범교육기관이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통일시대 북한교육론』(한만길, 교육과학사, 1997)
『조선대백과사전』4(백과사전출판사, 1996)
『조선교육사』5(리영환, 사회과학출판사, 1993)
『조선교육사』3(김창호, 사회과학출판사, 1990)
「남북한 중등교육 양성체제 사례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김형직사범대학 중심으로」(송두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