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서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향공진사, 내시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선주(宣州)
주요 관직
향공진사|내시
관련 사건
조위총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향공진사, 내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출신지는 선주(宣州: 평안북도 선천군). 선주의 향공진사(鄕貢進士) 출신이다. 형은 산원(散員)에 오른 방효진(房孝珍)과 선주의 호장(戶長) 방득령(房得齡)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70년(명종 즉위년) 무신정권에 저항하여 일어난 반무신란(反武臣亂)의 대표적인 사례인 조위총(趙位寵)의 난이 발발하였다. 이때 북계 지방에 있는 여러 성들이 조위총에 협조하였으며, 방서란의 출신지인 선주도 조위총의 편에 가담하였다. 당시 방서란의 장인인 병마판관(兵馬判官) 윤중첨(尹仲瞻)은 무신정권에서 파견한 진압군의 지휘관이자 윤중첨의 사촌형인 윤인첨(尹鱗瞻)의 휘하에 있었다. 따라서 진압군이 선주로 다가오자 방서란은 장인과 맞서 싸워야 하는 입장에 처해 있었다.

방서란은 형인 방효진, 방득령에게 그러한 곤란한 입장을 설명하면서 조위총세력이 자멸할 것이라고 설득하여, 형들의 동의를 얻어냈다. 방서란의 견해에 동의한 방효진 등이 진압군에 귀순하도록 선주 사람들을 설득하였고, 마침내 선주를 비롯한 서북 지방의 여러 성들이 조위총의 세력에서 이탈하였다.

선주인들이 조위총세력에서 이탈하려고 할 때, 조위총이 장군으로 임명한 선주의 도령낭장(都領郎將) 의유(義儒)가 홀로 반대하였다. 방효진이 의유를 활로 쏘아 죽인 후, 의주(義州: 평안북도 의주군)에 사람을 보내 이 사실을 알렸다. 의주인들도 조위총이 장군으로 임명한 경작(景綽)을 죽이고 이에 호응하였다. 선주와 의주의 소식을 들은 다른 성들도 모두 무장을 해제하여 무신정권의 진압군에 투항하였다. 1176년(명종 6)에 있었던 방서란과 그 형들의 이같은 활동은 조위총의 난이 진압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조위총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방서란은 개경 조정으로부터 동정직(同正職) 내시(內侍)가 되었다. 형 방효진은 산원(散員) 벼슬을 받았으며, 방득령은 향리(鄕吏)의 우두머리인 호장(戶長)에 임명되었다. 이후 선주인들이 방효진이 홀로 무반 벼슬을 받은 것을 시기하여 호장 방득령과 방득령의 모친을 살해하였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조위총의 난이 진압되는 과정에서 선주 사람들 사이의 갈등이 심각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신안식, 경인문화사, 2001)
『고려무신정권기 농민·천민항쟁 연구』(이정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1)
「무신집권기의 반무신란의 성격」(변태섭, 『한국사연구』19,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