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현대문학
작품
이문구가 지은 장편 연작소설.
정의
이문구가 지은 장편 연작소설.
구성 및 형식

1977년부터 1981년까지 발표된 9편의 소설을 발표순으로 엮은 연작소설. 각 작품의 제목이 모두 ‘우리 동네 〇씨’로 되어 있다.

내용

농민들의 모습을 인물 중심으로 서술하여 사건적 연결성은 적은 연작소설이다. 이장이 확성기로 정부 시책을 홍보하고 줏대를 가지고 살려는 ‘동네’ 사람들이 그에 맞서는 식의 농촌 풍경이 작품마다 되풀이된다.

서술이 초점자 역할을 하는 한 인물의 경험과 발언 위주로 이루어지며, 크게 몇 개의 장면 중심으로 전개되고, 대체로 결말이 첫 장면으로 되돌아가는 구성을 취했으므로 시간적이기보다 공간적인 형태의 소설이다. 충청도 지역어와 전통적 비유, 속담이 풍부하게 활용되며 산업화, 도시화로 치닫는 1970년대 현실이 전통적 공동체의 상징인 농촌사회를 어떻게 파괴하고 타락시켰는가를 풍자적으로 그려낸다. 또 유신시대에 ‘국가’가 행한 폭력을 민중의 일상에서 섬세하게 묘사해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근대화가 경제적ㆍ문화적으로 농촌을 파괴하는 시대 현실을, 사건만이 아니라 공식어(표준어)와 비공식어의 대립이라는 언어적 갈등으로까지 제시한 소설로 평가된다. 농민의 모습이 저항하는 주체로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참고문헌

『현대한국소설사 1945-1990』(이재선, 민음사, 1991. 3)
「이문구 소설의 서술구조」(최시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0집, 2008. 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