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랏골의 비가 (자랏골의 )

현대문학
작품
1974년 2월부터 1975년 6월까지 『현대문학』에 17회 연재되었으며 1977년창작과비평사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된 송기숙의 장편소설.
정의
1974년 2월부터 1975년 6월까지 『현대문학』에 17회 연재되었으며 1977년창작과비평사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된 송기숙의 장편소설.
구성 및 형식

1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자랏골의 비가(悲歌)」는 전라도 벽지 마을 ‘자랏골’에서 묘지를 둘러싸고 3대에 걸쳐 벌어지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명당이라 판명된 양문이 묏등은 이 비극적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소설은 이 자리에 마을 부자인 이양문이 묘를 쓰려 할 때인 1918년부터 4·19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묏등과 관련되어 마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마을의 어른 고당영감이 양문이 일가에게 묏등 자리를 팔자 누군가가 그 자리에 똥을 퍼넣는 사건이 일어나고, 양문이가 외지 청년들을 끌어들이면서 흉흉하고 끔찍한 사건들이 이어진다. 양문이 일가에 대한 마을사람들의 반감과 증오는 커져가고 이에 마을사람들의 시련과 고초도 함께 더해간다. 도장(盜葬) 사건과 소문과 억울한 죽음, 묏등 폭파 사건 등이 계속 일어나면서 마을의 비극적 운명은 이어진다. 부패한 권력에 빌붙어 힘을 누리는 양문이 일가와의 대립과 싸움 속에서 마을 사람들은 끊임없는 시련과 수난을 겪는다.

의의와 평가

「자랏골의 비가(悲歌)」는 작가 송기숙의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적이며 저항적인 의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그의 소설세계가 추구하는 민중의 생명력과 치열한 역사인식, 그리고 현실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오롯이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이 작품에서는 전라도 방언의 능란한 활용과 속담 등의 풍부한 인용, 만연체의 문장과 대화체의 구사를 통해 당대 민중의 현실을 민중의 언어로써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문헌

『1970년대 장편소설의 현장』』(민족문학사연구소, 국학자료원, 2002)
『송기숙의 소설세계』(임환모, 태학사, 2001)
『1970년대 문학연구』(민족문학사연구소, 소명출판, 2000)
「1970년대 농민소설의 한 수준 : 송기숙의 ‘자랏골의 비가(悲歌)’론」(이봉범, 『반교어문연구』12, 반교어문학회, 2000. 12)
「‘자랏골의 비가’ 해설」(김병걸, 『현대문학』247, 현대문학사, 1975. 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