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는 청몽(淸夢)ㆍ용암(龍巖)ㆍ국인(菊人)ㆍ국촌(菊村)이었으며, 자는 여직(汝直)이다. 개성출신의 황씨 사형제 서화가(종하(宗河)ㆍ성하(成河)ㆍ경하(敬河)ㆍ용하(庸河)) 가운데 셋째로 글씨에 뛰어났다. 형제들과 함께 송도서화연구회(松都書畵硏究會)를 운영하였으며, ‘황씨사형제전’을 수차례 개최하였다.
1895년 6월 3일 개성에서 벽암(碧巖) 황석일(黃錫一, 1849∼1903)과 설성(雪城) 김씨(金氏)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형제들과 함께 10여 년 동안 사숙을 통해 한학과 고전을 배웠다.
1922년 12월 2일 황종하(黃宗河)ㆍ황성하(黃成河)ㆍ황용하(黃庸河)와 함께 고향인 개성의 동본정(東本町) 452번지에 송도서화연구회(松都書畵硏究會)를 열고, 학생을 모집하여 서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또 12월 개성유지들이 고려미술공업진흥회를 조직하자 형제들과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3년 3월 경성미술구락부에서 형제들과 함께 작품 백여 점을 모아 ‘황씨(黃氏) 사형제전(四兄弟展)’을 개최하였고, 1923년 4월에는 인천 산수정 공회당(公會堂)에서 ‘황씨 사형제전’을 개최하였다.
1925년에는 황용하와 함께 일본의 도쿄(東京)에 건너가 사무소를 두고 독특한 사군자를 각 방면 명사에게 팔았으며, 귀국한 뒤에도 군산, 마산 등에서 형제들과 함께 ‘황씨 사형제전’을 열었다.
황경하는 글씨에 능하였으며 송설체(松雪體)를 계승한 서예작품을 많이 남겼다. 개성 외곽에 초당을 지어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유지하는 한편 서예와 학문에 정진하였다. 글씨를 매우 잘 썼으나 그림은 많이 그리지 않아 「인삼도」 한 점만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