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몽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발해의 보국대장군으로 일본에 파견된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발해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발해의 보국대장군으로 일본에 파견된 관리.
생애 및 활동사항

모시몽(慕施蒙)은 말갈계 발해인이며 관직은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이다. 752년(발해 문왕 16) 9월 정묘일, 발해 사신단 일행 75명과 함께 일본의 월후국(越後國)좌도도(佐渡島)에 도착하였다. 일본 조정은 10월 경진일에 좌대사(左大使) 정6위상 판상기촌노인(板上忌寸老人) 등을 월후국에 보내 발해 사신의 도착을 탐문하였다.

이듬해인 753년 5월 을축일에 발해 사신단이 일본 수도로 들어갔다. 모시몽은 일본과 발해가 사신 왕래한지 이미 10여 년이 지났으므로 자신을 비롯한 일행 75명을 보내 나라의 선물을 전한다는 발해왕의 말을 전하였다.

일본은 발해 사신이 외교문서인 국서(國書)를 가져오지 않고, 신하로 칭하지 않는 등 예에 맞지 않다고 하여 쟁론이 있었으나, 모시몽 일행에게 잔치를 베풀고, 작위와 녹(祿)을 차등 있게 수여하였다.

같은 해 6월 정축일에 귀국길에 올랐다. 당시 일본의 효겸천황(孝謙天皇)은 발해 문왕에게 다음과 같은 답서를 보냈다. “천황은 발해 국왕에게 경건히 문안드리오. 짐이 과덕함으로써 황위를 경건히 받들고 백성을 양육하고 팔극(八極)을 비추고 있소. (중략) 그런데 보내온 서한을 펼쳐보니 신하로 칭하는 이름이 없구려. ‘이전『고려구기(高麗舊記)』를 찾아보니 나라가 안정할 때에 올린 표문에는 족속(族屬)으로는 형제이고 의리로는 군신(君臣)이었소’”라고 하며, 향후 피차 서로 진퇴에 예의를 지킬 것을 요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본이 발해의 건국을 고구려의 부흥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발해가 일본에 신하를 칭하지 않은 것은 건국 이래 활발한 영토확장을 통하여 국력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한 자신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발해의 대외 관계사』(한규철, 신서원, 2005)
『발해의 지배세력 연구』(임상선, 도서출판 신서원, 1999)
『續日本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