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가락 (가락)

국악
개념
가사나 시조에서 정해진 악보 없이 노래 소리를 따라 반주하는 가락. 수성 · 수성조.
이칭
이칭
수성, 수성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가사나 시조에서 정해진 악보 없이 노래 소리를 따라 반주하는 가락. 수성 · 수성조.
개설

수성, 또는 수성조라고도 한다. 본래 가사의 반주 방법을 일컫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가사 또는 시조를 피리나 대금, 또는 거문고 등으로 반주할 때 노래의 선율을 따라 연주하는 형태를 말한다. 최근에는 창극의 반주에서도 작곡된 선율이 아닌 즉흥적인 반주를 수성가락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므로 정해진 선율 없이 노래의 선율을 따라가며 맞추어 반주하는 것을 모두 광의의 수성가락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노래와 반주 악보가 전해지는 가곡과 달리 가사와 시조는 반주 악보가 없다. 시조는 반주 없이 장구 반주만으로 노래하거나 무릎 장단을 치며 노래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시조가 무대에서 공연되고 음반으로 녹음되면서 반주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으며, 악보가 없는 음악이므로 자연스럽게 즉흥적으로 반주를 붙이게 되었다. 『현금오음통론(1886년)』에는 노래의 가사에 따른 수성(隨聲)이 악보로 기록되어 있고, 『학포금보(1915년)』에도 「가곡 수성조(歌曲 隨聲調)」가 수록되어 있어 적어도 19세기 말엽에는 ‘수성’이라는 단어를 널리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수성가락은 노래의 선율을 따라가면서 비슷하게 연주하는 반주방법이다. 피리나 대금의 관악기들은 노래의 일부 선율을 따라한 후 지속하여 뻗어내는 경우가 많고, 거문고는 노래보다 조금 늦게 골격음을 연주해 주는 방식으로 반주한다.

현황

수성이라고는 하지만 반주자가 노래를 모르면 제대로 반주하기 어렵다. 즉 수성가락을 잘 연주한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노래의 선율을 미리 예상하여 반주하는 모습이어야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사의 반주를 수성가락으로 능숙하게 해내는 이가 매우 드물다.

참고문헌

『학포금보(1915년)』(한국음악학자료총서16, 국립국악원, 1989)
『현금오음통론(1886년)』( 한국음악학자료총서14, 국립국악원, 1984)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국악개론』(장사훈ㆍ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