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

국악
인물
해방 이후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국악연주자 · 지휘자 · 작곡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8년
사망 연도
2007년
출생지
서울 종로구 적선동
정의
해방 이후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국악연주자 · 지휘자 · 작곡가.
개설

편경 연주자로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았으며, 피리를 전공하였으나 여러 악기를 두루 다룰 줄 아는 연주자였고, 수많은 작품을 남긴 작곡가이자 지휘자이기도 하다. 이강덕의 작품은 전통음악 가운데 민요, 판소리, 산조 등의 민속악을 소재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야금, 해금, 대금, 피리, 거문고, 아쟁 등 대부분의 독주용 국악기를 사용한 협주곡을 작곡하였다. 그는 26곡의 관현악곡, 협주곡 30여곡, 이외에 합주곡, 실내악, 독주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가야금협주곡 1번(1970)」과 「메나리조 주제에 의한 피리협주곡(1970)」 등은 국악작곡의 역사에 중요한 기점을 만든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생애

1928년 종로구 적선동에서 태어나 16세인 1941년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에 들어가 피리를 전공하였고 1944년 양성소 최후의 졸업생이 되었다.

활동사항

1944년 양성소의 졸업과 동시에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가 되었으며, 광복 후 1959년부터 국립국악원 국악사로 재직하였다. 1968년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악장으로 취임했고 1987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정년 이후에도 1988년부터 청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를 맡았고, 1991년부터 충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로 활동했다. 또 1964년에는 편경 연주자로서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의 보유자로 인정받았고 2006년에 명예보유자가 되었으며, 2007년에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새하늘」로 5.16 1주년 기념 신국악작곡공모에 당선되었다. 1981년 대한민국 작곡상과 1984년 KBS국악대상 작곡상을 수상했다.

참고문헌

『종묘제례악』(송지원ㆍ이숙희ㆍ김영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작곡가사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시공사, 1999).
「현대국악감상」(이성천,『음악평론』7ㆍ8권, 한국음악평론가협회, 199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