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도창 ()

목차
국악
개념
경기도와 서도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된 노래.
목차
정의
경기도와 서도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된 노래.
개설

경기와 서도지역에서 전승된 통속민요, 향토민요, 잡가 등 모든 민속악 장르의 노래를 말한다.

내용

분단 이전에는 경기(특히 서북부지역)와 서도음악이 같은 음악문화권 아래 밀접하게 연계되었다. 따라서 경기와 서도 출신 창자들은 서로 활발히 교류하며 경기와 서도지역에서 발생한 노래를 같이 많이 불렀고, 이로 인해 이들 지역에서 부른 노래를 경서도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불교음악인 경제 범패(경기, 서울지역의 불교음악)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분단 이후, 현재는 단절된 음악문화 환경 및 문화재 관리법으로 인해 경기소리와 서도소리가 따로 구분되어 전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인 경서도창으로 통속민요에는 「방아타령」, 「양산도」, 「한강수타령」, 「도화타령」, 「배꽃타령」 등이 있으며, 경기 12잡가 및 경기 서북부지역 향토민요(예컨대 「방아타령」)도 경기와 서도음악문화권에서 두루 많이 불렀다. 이로 인해 과거에는 창자에 따라 이들 소리에 경기와 서도음악어법(경서토리)이 섞여 있는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토속민요』(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민속원, 2013)
「개성 범패 「천수바라」 연구-개성 출신 용암 스님 창을 대상으로-」(손인애,『한국음악연구』제51집, 2012)
「경기민요 방아타령 연구-토속민요와 통속민요 비교-」(손인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92)
집필자
손인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