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가토리 (토리)

목차
국악
개념
서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리.
목차
정의
서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대표적인 토리.
개설

수심가토리는 황해도와 평안도지역 음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토리로, 서도지역 특유의 음악적 감수성이 음구성과 시김새에 잘 반영되어있다.

내용

수심가토리는 주요 구성음이 레, 미, 솔, 라, 도'의 5음이며, 이 중 레-라-도'의 5도+3도 관계가 선율진행의 중심을 이룬다. ‘도'’에는 퇴성(꺾는 목), ‘라’에는 선율의 중심이 되는 기능과 함께 서도 특유의 콧소리로 탈탈 떠는 요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요성은 “대동강 물을 마셔야 낼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서도음악문화를 제대로 알 때 구사할 수 있는데, 현재는 분단이라는 상황 아래 그 맛을 내는 창자들이 현격히 줄고 있다.

그리고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경우에는 서도민요 「수심가」처럼 ‘솔’(경토리의 주요음 도')이 생략되기도 하며, 대개 ‘라’ 또는 ‘레’로 종지한다. 수심가토리로 된 대표적인 서도민요에는 「수심가」를 비롯하여 「엮음수심가」, 「긴염불」, 「자진염불」,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등이 있다.

참고문헌

「서도 통속민요 「긴염불」 연구」(손인애,『한국민요학』31, 2011)
「경·서토리 음구조 유형에 관한 연구」(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92)
집필자
손인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