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백자 달항아리는 2009년 12월 23일에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항아리 구연부는 사선으로 벌어졌고, 구부(口部)는 살짝 외반하고 있다. 경부 이하로 서서히 벌어져 동체 중심에서 최대 동경을 이루고, 다시금 좁아지는 기형으로 이른바 '달 항아리'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항아리의 굽은 수직이며 구연부에 비해 크기가 작아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느낌을 주지만, 잘 정돈된 접합부분의 흔적으로 인해 침착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유백색의 유약이 시유되어 있으며, 동체부에 부분적으로 홍색 반점이 남아 있다.
이 항아리는 구연부가 외반하고 사선으로 벌어졌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대부분의 달 항아리들이 직립하거나 다이아몬드 형태의 구연부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구연부는 약간 비틀어져 왜곡된 형태를 이루어 비대칭의 자연스러움을 더해 준다.
어깨에서 몸체 중앙부로 일부 빨간 반점이 있는 것은 태토(胎土) 내의 산화철이 소성 중에 공기와 반응해서 생긴 것으로, 마치 하얀 캔버스 위에 붉은 반점을 살짝 흩뿌려 놓아 홍백의 대비를 부드럽게 보여주는 것 같다.
유(釉) 표면에 일부 핀홀이 보이며, 일부 굽이 파손된 것을 제외하고는 잘 보존되어 있다.
조선 후기 달항아리 중에서 구연부의 왜곡에 의한 파격미와 몸체의 붉은 반점이 백색의 배경과 어울려 부드러운 색상 효과를 내는 색채미를 지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