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권 ()

목차
법제·행정
인물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육군 중장, 국방부장관 등을 역임한 군인 · 관료.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0년 1월 8일
사망 연도
2005년 9월 20일
본관
밀양
출생지
충청남도 논산군
관련 사건
국방경비대 창설|한일협정 비준 반대
목차
정의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육군 중장, 국방부장관 등을 역임한 군인 · 관료.
내용

1920년 1월 8일 충청남도 논산 출생으로, 1940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해 1944년 졸업했다. 졸업 후 학도병으로 강제 징집되었다.

해방이 되자 학도병 출신들이 결성한 조선학병연맹에 가입해 활동하다 민기식, 최석 등과 함께 탈퇴한 후 학병단에 가입해 조선학병연맹에 맞섰다. 1945년 12월 5일 미 군정청이 군사영어학교를 개설하자 이에 응시해 1946년 1월 5일, 1차로 합격했다.

소위로 임관된 후 국방경비대 창설에 참여해 서울에서 창설된 제1연대 A중대에 이어 부산시에 내려와 오덕준, 이치업과 함께 제5연대 A중대 창설을 도와 모병활동을 전개했다. A중대와 B중대 편성이 완료된 후 그해 9월 10일 송요찬 참위 등 제 5연대 대원 123명을 이끌고 제8연대에 편입되어 제8연대 제3대대를 편성했다.

1947년 2월 육군 소령으로 진급했고 12월부터 제3대 연대장으로 활동했다. 1948년 7월 25일 통위부(統衛部, 현 국방부)로 전출되었다. 이범석 초대 국방부 장관 부관으로 재직하다 1949년 1월 육군사관학교 교무주임으로 발령받았다. 그 뒤 대령으로 진급해 1949년 10월 육군사관학교 후보생 대대장이 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제5사단 참모장으로 지연작전을 벌였다. 1950년 10월 제5사단 부사단장으로 승진해 지리산, 김천, 영주 등지에서 공비소탕작전을 벌였다. 이듬해인 1951년 2월 홍천전투에 참전했고, 3월 제2사단 부사단장으로 전보되었다. 6월 30일 육군 준장으로 진급해 경북 영양의 오미산전투, 사창리 진격전을 벌였다.

1951년 8월 15일 제9사단장으로 취임해 육군본부 직할로 배속된 사단을 정비하고, 교육훈련을 시킨 뒤 철원으로 이동시켰고 11월부터 12월까지 화살머리 고지 전투 및 백마고지 전투 지휘했다.

1952년 5월 미국 캔사스 주 육군지휘참모학교에 파견되었으며, 체류 중이던 1953년 5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1953년 6월, 1년 만에 원대 복귀하여 제5사단장에 부임했다.

휴전 후 1954년 3월 육군사관학교장과 1955년 8월 국방대학 부총장에 연이어 임명되어 주로 군 교육분야에 봉직했다. 1955년 10월 제1관구 사령관과 1958년 8월 제6관구 사령관을 거친 후, 1959년 3월 교육총본부 제2훈련소장(현 논산훈련소장)에 임명되었다. 1960년 제3군단장이 되었고, 1960년 8월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 같은해 11월 전투병과 교육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61년 7월 9일 육군 중장으로 진급 후 예편했다.

예편 직후 1961년 7월, 제14대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미국방문을 수행했다. 박정희 의장의 민정참여를 반대해 1963년 3월 자진 사임했으며, 1965년 7월 31일 퇴역장성, 종교인, 학계대표로 구성한 조국수호국민협의회 발족에 참여해 한일협정을 반대하는 성명서에 서명했다. 한일협정 범국민비준저지 투쟁에 동참해 8월 29일 구속되었다가 10월 25일 보석으로 풀려났다.

1966년 7월 민중당에 입당한다고 선언했다가 이틀 만에 철회했고, 이듬해인 1967년 3월 공화당에 입당했다. 1970년 국영기업인 대한중석 사장에 내정되어 1977년 2월까지 연임했고, 1987년 민주화합추진위원회 국민회합분과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이후 대한해운 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2005년 9월 20일 사망했다. 상훈으로는 태극무공훈장과 을지무공훈장, 일등근무공로훈장 등이 있다.

참고문헌

『진실화해위원회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6 (진실화해위원회, 2010)
『국방통계연보』(국방부, 2006)
「민주화합추진위 발족」(『동아일보』, 1988.1.11)
「대한중석 사장에 박병권씨를 내정」(『매일경제』, 1970.5.12)
「공화당 입당」(『동아일보』, 1967.3.21)
「민중당 오능 2차 전당대회」(『경향신문』, 1966.7.19)
「일등무공훈장 박병권씨에게 수여」(『경향신문』, 1963.4.20)
「국방장관에 박병권 장군」(『동아일보』, 1961.7.11)
「박병권 소장 취임식 제일관구사령관」(『경향신문』, 1955.10.14)
전쟁기념관(www.wmk.kr/ko)
집필자
이은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