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열 ()

목차
법제·행정
인물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중앙정보부 차장 등을 역임하며 박정희 정부에서 핵심 세력으로 활동한 법조인 · 정치인.
이칭
이칭
서봉, 西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9월 15일
사망 연도
2009년 6월 15일
본관
사성 김해 김씨
출생지
경상북도 달성
관련 사건
김종길 교수 의문사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
목차
정의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중앙정보부 차장 등을 역임하며 박정희 정부에서 핵심 세력으로 활동한 법조인 · 정치인.
내용

1921년 9월 15일 경상북도 달성 출생으로, 1943년 9월 일본 주오대[中央大] 법학과를 졸업했다. 1943년 7월 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했고, 1945년 4월 일본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해방 후 귀국해 1946년 대구지검 검사로 검찰 생활을 시작했다. 한국전쟁 중 피난 수도 부산에서 부산지검 차장검사, 1954년 9월 서울지검 차장검사, 1956년 9월 법무부 검찰국장을 거쳐 40세가 되기 전인 1958년 서울지검장이 되었다.

4·19 이후 1960년 9월 서울지검장에서 물러나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 10년 간의 변호사 생활 후 1970년 1월 중앙정보부 차장에 임명되었다. 중앙정보부 차장 시절인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사건’이 일어났으며, 1973년 10월에는 ‘유럽거점 간첩단 사건’을 발표하기도 했다.

1973년 12월 제13대 검찰총장이 되었으며, 검찰총장 재직 중이던 1974년 4월 ‘인혁당 재건위 사건’이일어나기도 했다. 1975년 12월 제37대 내무부 장관이 되었으며, 내무부 장관 시절 새마을운동의 주무 장관으로 특히 농촌 주택개량운동에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1976년 치안본부 소속 남영동 대공분실(보안분실)을 만들었으며, 치안본부 특수수사대를 사직동팀(특수 1대)과 신길동팀(특수 2대)으로 분리해 사직동팀이 박정희 대통령의 특명사건을 수사하게 했다.

1978년 12월 법무부 장관이 되었으며, 1979년 12월 13일 퇴임했다. 중앙정보부 차장으로 시작해 법무부 장관으로 퇴임할 때까지 약 10년 간 박정희 정부의 권력 핵심부에 있었다.

12·12 쿠데타 이후 신군부로부터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부인과 아들 명의로 된 서울과 경기도 소재 4만 4000여 평의 임야 등 부동산을 몰수당했으나 2003년 소송을 통해 1000억 원대의 부동산을 되돌려 받기도 했다. 2009년 사망했다.

참고문헌

「고 김치열 전 장관님을 떠나보내며」(『매일경제』(2009.6.17)
「1천 억대 재산 반환 소 김치열씨 “80년 강제헌납”」(『경향신문』, 1999.10.16)
「김치열 법무 권력의 핵 두루거친 강직형」(『동아일보』, 1978.12.23)
「김치열 내무 강직한 성격, 서정쇄신에 유공」(『경향신문』, 1975.12.20)
「김치열씨 검찰 법에 묻혀산 외유내강」(『경향신문』, 1973.12.3)
「정보부 차장에 김치열 씨 임명」(『동아일보』, 1970.1.7)
「3·15 때 검사장 전원을 해임」(『경향신문』, 1960.9.2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