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상연대 목조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함양 상연대 목조관음보살좌상
함양 상연대 목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함양군 상연대에 봉안되어 있는 1612년에 조각승 현진이 제작한 목조관음보살좌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함양상연대목조관음보살좌상(咸陽 上蓮臺 木造觀音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보살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01월 10일 지정)
소재지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 78-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상연대에 봉안되어 있는 1612년에 조각승 현진이 제작한 목조관음보살좌상.
개설

2008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살상은 높이 39.5㎝. 보살상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12년에 조각승 현진(玄眞), 학문(學文), 명은(明隱), 의능(義能) 등이 제작한 후, 1677년에 중수되었다.

내용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 39.5㎝의 중소형 보상상으로, 앞으로 머리를 숙이면서 허리를 꼿꼿하게 세우고 대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있다. 상체가 길고 낮은 무릎의 신체 비례를 지닌다.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보관 아래로 머리카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얼굴은 네모지며 강건하고 박력이 느껴진다. 수인은 엄지와 중지를 가슴 부위에 들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 놓았다. 이렇게 오른손은 가슴 부위에 들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보살상은 대의(大衣)로 두 어깨를 감싸고 있다. 옷을 이중으로 입었는데 오른쪽 어깨에 걸쳐진 반달 모양의 옷단은 세 단으로 겹쳐 자연스럽게 주름이 잡혀 있다. 가슴에서 크게 벌어져 U자형을 그린 대의의 끝자락은 배 앞에 넣었다. 군의자락 밖으로 결가부좌한 오른발이 나와 있으며, 발목으로 모아지는 옷자락은 3단의 직선을 만들고 옷의 끝자락들은 앞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펼쳐 있다.

보살상의 복장에서 나온 복장기에는 1612년에 현진(玄眞), 학문(學文), 명은(明隱), 의능(義能)이 제작하고 1677년에 중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진은 이후 1614년에 전남 구례 천은사 목조보살상, 1626년에 충북 보은 법주사 소조삼신불좌상, 1633년에 충남 부여 무량사 극락전 소조삼존불상을 조성한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대표적 조각승이다. 현진은 이 상연대 보살상을 시작으로 수화사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후 하나의 조각승 계파를 이룰 정도로 많은 활동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상연대 목조관음보살좌상은 크기가 작지만, 조각 기법이 뛰어난 작품이다. 불복장물을 통해 1612년에 조성되어 1677년에 중수되었고 특히 17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조각승인 현진이 수화사로 주도적인 작품 활동을 하면서 제작된 초기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선집』Ⅰ(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 조각승 열전』(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 불교조각사』(송은석,사회평론,2012)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최선일,경인문화사,2011)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한국의 불상 조각: 고려·조선 불교조각사 연구』(문명대,예경,2003)
집필자
이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