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노 ()

목차
정치
인물
국회의원, 국회징계자격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발췌개헌, 사사오입 개헌 등 이승만의 정치권력을 강화하는 활동에 일조한 정치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5년 4월 15일
출생지
경상북도 칠곡
관련 사건
국회프락치사건|국제공산당사건|사사오입개헌|포항밀수사건
목차
정의
국회의원, 국회징계자격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발췌개헌, 사사오입 개헌 등 이승만의 정치권력을 강화하는 활동에 일조한 정치인.
내용

1905년 4월 15일 경상북도 칠곡군 출생으로, 칠곡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일본 도쿄농업대학[東京農業大學] 실과(實科)를 수강하고, 1933년 경상북도 달성군청에 재직했다.

해방 후 삼우공업회(三友工業會) 사장, 남선민보(南鮮民報) 사장,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경상북도 지부 조직부장과 선전부장 등을 역임하며 청년운동에 종사했다. 1948년 5월 실시한 제헌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영일 을구 무소속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어 내무치안위원회에 소속되었다. 같은 해 6월 23일 영우회(嶺友會) 출신 국회의원 간의 친목단체인 태백구락부 결성에 참여했다.

1948년 7월 무소속구락부 대표로 국무총리 등 주요 요직에 현 과도정부 인물과 한국민주당 측 인물 기용을 거부하는 건의서를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1948년 9월 국회의원 26명과 함께 한미행정이양협정 반대성명서를 발표하는 데 동참했으며, 10월 국회의원 18명과 함께 미군주둔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데 참여했다.

구 한국독립당계열로 1949년 동인회(同人會)에 참여했으며, 이후 동인회와 성인회(成人會)가 합동해 결성한 동성회(同成會) 소속이 되었다. 1949년 1월 국회징계자격위원장에 당선되었다.

1949년 2월 70명의 국회의원이 외국군 즉시철수를 요청하는 남북통일에 관한 긴급결의안을 제출하는 데 동참했으며, 3월에는 자율적 남북평화통일 메시지를 유엔한국위원단에 전달하는 데 서명했다. 3월 부일(附日) 행위자에 의한 모리행위를 숙청하자는 적산(敵産)대책협회 선언문에 동조했다. 5월부터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전국각지의 반민족행위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 작업에 참여해 경상북도 지역의 자료 수집을 담당했다.

1949년 6월 주한미국 군사고문단 설치를 환영하는 성명 발표에 참여했으며, 7월 동성회에서 대한노농당으로 당적을 바꾸며 대한노농당(大韓勞農黨) 소속으로 대한국민당과의 통합을 추진했다. 8월 국회프락치사건에 연루되어 배중혁(裵重赫), 김영기(金英基), 원장길(元長吉), 차경모(車庚模)와 함께 구속되었으나, 김영기, 원장길과 함께 구속영장 집행에서 제외되었다.

1949년 9월 민주국민당으로 당적을 변경했고, 그해 10월 개정된 국회법에 따른 상임위원회 개선으로 재정경제위원회에 소속되었다. 1950년 1월 내각책임제로 개헌하는 헌법개정안에 동의했다가 10일 뒤 취소했으며, 3월 무소속의원 16명과 함께 의원의 양심자유보장을 강조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4월 조병옥을 후임 국무총리로 추천하는 연서에 서명했다.

1950년 5월 2대 민의원 선거에서 영일 을구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1951년 7월 민우회(民友會)에 가입했으며, 1952년 4월 내각책임제 개헌안 반대에 날인했다. 같은 해 7월 4일 발췌개헌안 통과에 앞장섰고, 9월 원외 자유당에 입당했다.

1954년 5월 3대 민의원 선거에서 영일 을구 자유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해 9월 이승만 대통령의 3선 제한 철폐를 위한 개헌안에 날인하는 등 11월 29일 ‘사사오입 개헌’을 통과시키는데 일조했다.

1958년 5월 4대 민의원 선거에서 영일 을구 자유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어 4선의원이 되었으나, 선거무효가 결정되었으며, 그해 9월 재선거를 치러 다시 당선되었다. 이후 선거과정에서의 부정행위가 드러나 그의 일가족, 고용인 등 7명이 기소되었으며, 결국 1959년 11월 대법원에서 재차 선거무효 판결을 받았다.

참고문헌

『대한민국 의정총감』(국회의원총감발간위원회, 1994)
「자유당을 탕당 김익노씨」(『동아일보』, 1959.9.4.)
「반민국의원조사 자가숙청에 착수」(『동아일보』, 1949.5.3.)
대한민국헌정회(www.rokps.or.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집필자
이은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