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옥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천도교 임원을 역임하였으며, 수원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제암리 학살사건에 의해 사망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1년 9월 4일
사망 연도
1919년 4월 15일
본관
순흥(順興)
출생지
경기도 수원
주요 저서
「종교는 단체력소성(團體力所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안정옥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 발안리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수원군 향남면 발안리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천도교의 지도자로서 1919년 3월 25일과 4월 3일의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일경과의 충돌로 일본 순사가 피살되는 등 시위가 격렬해지자 일제는 대대적인 진압작전을 펼쳐, 4월 15일 제암리 교회에서 주동자를 학살하고 불을 지르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 이때 제암리 교회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천도교 임원을 역임하였으며, 수원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제암리 학살사건에 의해 사망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1861년 9월 4일 출생하여 1919년 4월 15일 아들 안종엽(安鍾燁)과 함께 제암리 교회에서 사망하였다. 천도교 임원으로 수원대교구 주1주2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활동

수원 지역의 3 · 1운동은 조직적이고 치열하였는데, 이는 당시 수원 지역의 천도교 조직이 막강하였기 때문이다. 일찍이 천도교는 1914년 대교구를 설립할 때 수원교구를 대교구로 승격하였다. 원래 교구는 주3가 100호 이상 되는 구역에 설치하였고, 교구가 10개 이상 되는 곳에 대교구를 설치하였다.

3 · 1운동 당시 수원이 대교구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면 수원의 천도교 가호(家戶)는 적어도 1,000호 이상을 훨씬 넘었을 것이다. 당시 수원 지역의 3 · 1운동은 3월 16일 수원면 북수리 천도교당에서의 만세운동 준비와 조직 계획을 시발로 하여 본격화되었다. 4월 초에는 주4 발안 장날 만세운동과 주재소 습격으로 절정에 달하였다.

안정옥(安政玉)은 4월 3일 향남면 발안리 장날을 이용하여 안진순(安珍淳), 김덕용(金德用), 안상용(安相容), 강태성(姜太成) 등과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1,000여 명의 민중들과 함께 태극기를 앞세우고 장터를 행진하였는데, 일본 경찰과 충돌하여 그들의 무차별 발포로 3명이 부상하였다.

이에 분노한 조선 민중들은 투석으로 대항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본 순사부장이 돌에 맞아 죽었다. 이에 일제는 일본 경찰과 헌병대를 대량으로 증파하여 닥치는 대로 체포하고 고문하며, 살인과 방화를 자행하였다.

4월 15일에는 일본군 중위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가 이끄는 약 20명가량의 군경이 제암리에 내습하여, 조선인들에게 알릴 일이 있다고 속여 천도교와 기독교 주동자 30여 명을 제암리 교회에 모이게 하였다. 주동자들이 모이자 아리타는 방화와 사격 명령을 내려 그 자리에서 주동자들 모두 학살하였다.

한 연구에 의하면 제암리 교회 학살사건에서 희생당한 사람은 천도교인 25명, 기독교인 12명이라는 주장이 있다. 안정옥도 당시의 학살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학문과 저술/ 사상과 작품

1915년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 11월호에 「종교는 단체력소성(團體力所成)」이라는 글을 발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이화 외, 『경기도 수원 동학농민혁명』(모시는사람들, 2017)
이병헌, 『3.1운동 비사』(시사시보사, 1959)

논문

안정옥, 「종교는 단체력소성(團體力所成)」(『천도교회월보』 64, 1915)
주석
주1

교리 강좌 담당

주2

포교 담당

주3

종교를 믿는 사람이나 그 무리    우리말샘

주4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집필자
정혜정(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