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화장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개념
국가유산
인두를 달구어 종이, 나무, 가죽 등의 표면을 지져서 그림을 표현하는 기능을 보유한 장인.
이칭
이칭
화화장(火畵匠), 소화장(燒畵匠)
국가무형유산
지정 명칭
낙화장(烙畵匠)
분류
무형유산/전통기술/미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무형유산(2018년 12월 27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낙화장은 인두를 달구어 종이, 나무, 가죽 등의 표면을 지져서 그림을 표현하는 기능을 보유한 장인이다. 조선 후기 이후 박창규가 잘했다고 전하며, 일제강점기 백학기도 솜씨가 좋았다. 2018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고, 일제강점기 이후 백학기로부터 이어지는 사승 관계에 있는 김영조가 2018년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목차
정의
인두를 달구어 종이, 나무, 가죽 등의 표면을 지져서 그림을 표현하는 기능을 보유한 장인.
내용

낙화(烙畵)는 인두나 쇠붙이를 불에 달구어 종이, 나무, 가죽 등의 표면을 지져서 그림이나 문양, 글씨 등을 표현하는 것이다. 기법상으로 낙죽(烙竹)과 관련이 있으며, 혼용되기도 한다.

낙화는 회화에서 모필(毛筆)로 구현되는 대부분의 준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인두를 다루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여 공예적 성격이 있다.

낙화장은 2018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종목 지정되었고, 2018년 12월 27일 김영조(金榮祚)[남, 1953년생, 충청북도 보은군]가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이에 앞서 김영조는 2010년 충청북도의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된 바 있으나,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되면서 충청북도 무형문화재에서는 해제되었다.

변천

조선 후기 실학자 이규경(李圭景, 17881863)은 「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의 ‘낙화변증설(烙畵辨證設)’에서 중국의 낙(烙)을 소개하면서 조선에서 낙을 잘하는 사람으로 박창규(朴昌奎, 17961861년)를 언급하였다.

박창규는 낙화를 잘하여 한양의 양반관료들 사이에서 이름을 날렸으며, 그의 낙법은 후손들에 의해 집안 내림으로 전승되어 낙화로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박계담(朴桂淡)은 박창규의 재종손으로 20세기 초 일본에까지 유명했는데, 1915년 9월 경복궁에서 열린 시정오년기념(始政五年記念)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29년 9월 조선박람회(朝鮮博覽會)의 전라북도관에서 낙화 제작을 시연하였는데 당시의 모습이 박람회 화보에 실렸다.

일제강점기에 백남철(白南哲), 백학기(白鶴起)로 이어지는 백씨 집안에도 낙을 잘하는 사람이 여럿 나왔다. 특히 백학기는 1920년대에 전국적으로 유명한 낙화가로 활동하였다.

2019년 낙화장 보유자로 인정된 김영조는 전창진(田昌鎭, 1946~?)에게서 낙법을 배웠는데, 전창진은 백학기를 사사한 최성수(崔聖洙, ?~1985)로부터 배운 것으로 전하여, 일제강점기 이후 현대에 이르는 낙화의 맥이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인규 · 김영조, 『낙화장』(충청북도 · 국립민속박물관, 2012)
김삼기 · 김기찬 · 김인규, 『낙죽장』(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논문

박정혜, 「19세기와 20세기 전반의 낙화 연구」(『미술사연구』 33, 미술사연구회, 2017)
윤열수, 「문자도를 통해 본 민화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