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개통헌의 ()

과학기술
물품
문화재
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천문계산기.
물품
재질
청동
용도
천문관측
소장처
실학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9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로747번길 16 (조안면, 문화재관리용건축물) 실학박물관
내용 요약

혼개통헌의는 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천문계산기이다. 중국을 통해 전래된 서양의 천문시계인 아스트로라브를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금이 조석식으로 해석해 1787년(정조 11)에 만든 천문 도구이다. 이것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혼개통헌의로, 모두 11개의 지성침이 있어서 특정 별을 가리키도록 제작되었다.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천문계산기.
연원

아스트로라브(Astrolabe)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 시대라고 전하지만, 본격적으로 발전한 것은 이슬람 문화에서이다. 아스트로라브가 이슬람에서 발전한 것은 어느 곳에 있든지 메카의 신전을 향하여 정확한 시간에 매일 5번의 기도를 해야 하는 이슬람 종교의례와 관련이 깊다.

유럽에서는 잊혀져 있다가 11세기를 전후로 스페인 남부 지역을 통해 서유럽에 다시 전파되었다. 유럽이 아스트로라브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항해에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아스트로라브는 명나라 말기에 클라비우스(Christoph Clavius, 1538~1612)의 아스트로로라브 해설서인 『Astrolabium』(1593)을 명말의 학자인 이지조(李之藻, 1569~1630)와 마테오 리치(Matteo 주1가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圖說)』(1607)로 제목을 붙여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아스트로라브는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혼개통헌(渾蓋通憲)’이라는 이름으로 청과 조선에 전래되었고, 일본은 16세기에 서유럽을 통해 직접 전래되었다.

형태와 제작 방식

혼개통헌의의 앞면은 일종의 천문계산기이다. 앞면에는 ‘레테(Rete)’라고 불리는 구멍 뚫린 판이 있는데, 이것을 돌려가며 원반 아래에 새겨진 눈금선을 통해 천체 관측값을 얻는다.

레테의 기본 뼈대에는 다양한 개수의 ‘지성침(指星針)’이 있는데,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금(柳琴)이 1787년(정조 11)에 만든 아스트로라브에는 모두 11개의 지성침이 있다. 유럽에는 지성침이 40개나 되는 아스트로라브도 있다.

이 지성침들은 특정의 밝은 별을 가리키도록 맞추어져 있다. 유금이 만든 혼개통헌의는 동아시아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것으로, 이 혼개통헌의에는 규대(圭大), 즉 규수대성(Mirach), 필수대성, 삼좌견성을 비롯한 11개의 특정 별을 가리키도록 제작되어 있다.

혼개통헌의의 모체판 앞면의 중심은 하늘의 북극을 나타내며, 이곳의 구멍에 핀을 박아 성좌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바깥쪽 둘레에는 지름 16.7㎝인 원이 그려져 있다. 그 안쪽으로는 지름 16.0㎝와 15.4.㎝의 동심원 사이에 2도 간격으로 눈금이 있고, 그 안쪽은 24등분하여 아래쪽을 자초(子初)와 자정(子正)의 경계로, 위쪽은 오초(午初)와 오정(午正)의 경계로 삼아 12지에 초(初)와 정(正)을 붙인 시각 이름을 시계 방향 순서로 새겨놓았다.

모체판 뒷면에는 2도 간격의 눈금까지는 앞면과 같지만, 그 안쪽은 10도마다 눈금이 있고 그 안쪽은 30도씩 등분되어 황도12궁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아울러 24등분하여 24절기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해시계 역할을 하는 도표라 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혼개통헌의는 서양 천문학과 기하학을 이해하고 소화한 조선 지식인들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제작 원리와 제작의 정밀도 등에서도 18세기 조선의 수학, 천문학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과학 기기이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제작되어 알려진 유일한 천문 도구이고, 조형적 · 공예기술사적으로도 동판 위에 깔끔하고 정밀하게 12황도와 24절기를 한자로 새겨 소박한 단순미와 절제미를 보여주고 있으며 , 18세기 조선의 금속 세공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높은 가치가 있다. 2019년 6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경기도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기준, 『서운관의 천문의기』(경인문화사, 2017)

논문

미야지마 카즈히코(Miyajima Kazuhiko), 「조선에서 제작된 아스트로라브에 대하여(A New Discovery of Korean Astrolabe)」(『한국과학사학회지』 31-1, 한국과학사학회, 2009)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1552~1610). 중국 이름은 이마두(利瑪竇). 명나라 만력제(萬曆帝)로부터 베이징(北京) 정주를 허가받고, 중국에 가톨릭 포교의 기초를 쌓았다. ≪기하학 원론≫, ≪곤여 만국 전도≫ 따위의 서양 학술을 소개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