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바라밀다심경주해 ()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화감당지희가 『반야심경』을 주해하여 1827년에 간행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승려 화감당지희가 『반야심경』을 주해하여 1827년에 간행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개설

조선 후기의 승려인 화감당지희가 강원도 삼척도호부의 명적사(明寂寺)에서 간행한 책이다. 한국불교전서본으로 2페이지에 불과한 짧은 글로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일심(一心)사상을 기반으로 반야(般若)사상을 해석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화감당지희의 자서인 「개간주심경서(開刊註心經序)」에 의하면, 『반야심경』은 문장은 간단하나 뜻이 넓은데, 박학다식한 사람들은 쉽다고만 여기고 무식한 사람들은 뜻도 알지 못하고 입으로 외우고만 있으니 이를 구하기 위해 주석한다고 하였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으로 목판본이다. 『금강경(金剛經)』·『대화엄법계도주해(大華嚴法界圖註解)』와 합간되어 있다.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화감당지희에 대해서 상세한 것은 알 수 없으며,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승려로 보인다. 『반야바라밀다심경주해(般若波羅密多心經註解)』에서 추정하건대 교학에 밝은 승려였던 것으로 보인다. 2페이지의 적은 분량이기 때문에 장을 나누고 있지는 않은데, 먼저 경전의 제목에 대한 해설을 통해 『반야심경』의 의의를 총괄적으로 서술한 뒤 『반야심경』의 본문을 따라가며 해설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열반경(涅槃經)』·『불지론(佛地論)』·『대지도론(大智度論)』 등의 경문을 인용하고 있다.

먼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의 경제(經題)를 해설하는 부분에서, “반야란 오온(五蘊)이 공(空)함을 비추는 지혜로서 본각(本覺)과 상응하는 지혜를 말한다.”라고 한다. 본각이란 여래장자성청정심(如來藏自性淸淨心)을 가리키고, 반야란 시각(始覺)을 말한다. 이 본각과 시각은 불일불이(不一不二)의 관계에 있다. 본각과 시각을 가지고 해설하고 있는 점에서 저자가 『대승기신론』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야심경』의 구절을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무고집멸도(無苦集滅道)’를 주석하는 부분에서, 고(苦)란 ‘고를 아는 것[知苦]’이며, 집(集)이란 ‘집착을 끊는 것[斷集]’이며, 도(道)란 ‘도를 닦는 것[修道]’이며, 멸(滅)이란 ‘이제(二諦)가 멸하여 피안에 도달하는 것[到涅般]’이라고 해설한다. 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에 대한 해설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것은 한자로는 무상정변정각(無上正徧正覺)이라고 하고 정지변지(正智徧智)라고도 한다. 진(眞)과 속(俗)이 편벽되지 않고 삿되지 않는 것을 깨달아서, 정지(正智)로서 진(眞)을 깨닫고 변지(徧智)로서 속(俗)을 깨닫는다. 모두 편벽되지 않고 삿되지 않으므로 정각(正覺)이라고 한다. 반면에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의 이승(二乘)은 편벽되게 알고, 범부는 삿되게 알아서 진과 속을 구분한다[阿耨多羅至三菩提等者 此云無上正徧正覺 謂正智徧智 覺知眞俗不偏不邪 卽以正智覺眞 徧智覺俗 皆不偏邪 故云正覺 以二乘偏覺 凡夫邪覺 揀此二故]”라고 하고 있다.

마지막에는 『대지도론(大智度論)』에 나오는 오종보리(五種菩提)에 대해 해설하고 있는데, 발심보리(發心菩提)는 십신(十信), 복심보리(伏心菩提)는 삼현(三賢), 명심보리(明心菩提)는 초지(初地)에서 칠지(七地)의 단계, 출도보리(出到菩提)는 팔지(八地)에서 십지(十地)의 단계, 무상보리(無上菩提)는 여래지(如來地)의 단계를 가리킨다고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반야바라밀다심경주해』는 2페이지에 불과한 짧은 글이므로 『반야심경』에 대한 상세한 주석서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내용도 평이한 것이 많아서 독창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화감당지희는 『대승기신론』과 화엄사상에 기반하여 『반야심경』을 해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조선 후기 반야사상 이해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범어로 반야심경을 해설하다』(김명우, 민족사, 2010)
『한국불교전서』제11책(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동국대학교출판부, 1992)
집필자
정영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