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희랑대덕 ()

불교
문헌
통일신라시대, 최치원이 해인사 승려 희랑에게 지어 보낸 10수로 구성된 시.
문헌/고서
저자
최치원(崔致遠)
내용 요약

「증희랑대덕(贈希朗大德)」 10수는 최치원이 천령군(天嶺郡, 현 경상남도 함양군) 태수를 역임할 때 지은 시이다. 894년(진성여왕 8) 인근 해인사에서 희랑의 화엄학 강의가 열렸으나 최치원은 민란을 진압하느라 이 강의에 참석할 수 없었다. 최치원이 강의를 듣지 못한 아쉬움을 담아 희랑에게 지어 보낸 10수의 시이다.

정의
통일신라시대, 최치원이 해인사 승려 희랑에게 지어 보낸 10수로 구성된 시.
저자 및 편자

최치원(崔致遠)은 신라 말의 문인, 관료, 주1로 대표적인 육두품 지식인이었다. 857년(헌안왕 1) 경주에서 태어나 868년(경문왕 8) 12세로 중국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다. 874년 당에서 주4에 합격한 후 관료 생활을 하다 895년 귀국하였다. 당에서도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귀국 후 신라에서 관료로 활동하며 당에 보내는 국서를 작성하기도 하고 주2 · 기(記) · 찬(讚) 등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많은 문장을 지었다. 유, 불, 도 삼교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교 관련 시문도 많이 지었다. 894년(진성여왕 8) 진성여왕에게 주5 10여조를 올리는 등 신라 사회의 개혁을 위해 노력했으나 주3라는 신라 사회의 한계 속에서 그의 개혁안은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결국 최치원은 난세를 한탄하며 관직을 버리고 주6하였다. 만년에 가야산 해인사에 머물며 승려들과 교류하였다. 말년의 행적은 알려진 바가 없다.

서지 사항

『가야산 해인사지(伽倻山 海印寺誌)』에 수록된 가야산 해인사의 옛 기록에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희랑대덕군(希朗大德君)이 여름에 가야산 해인사에서 『화엄경』을 강의하는데, 나는 적(賊)들을 막아 내느라고 청강할 수가 없었다. 이에 한 번 읊조리고 한 번 노래하되, 5측(側) 5평(平)을 써서 10절을 지어 장(章)을 이루어서 그 일을 기린다. 방로태감 천령군태수 알찬 최치원[希朗大德君 夏日於伽倻山海寺 講華嚴經 僕以捍虜所拘 莫能就聽 一吟一咏 五側五平 十絶成章 歌頌其事 防虜太監 天嶺郡守 遏粲 崔致遠]”

최치원이 희랑에게 지어준 시는 10수였으나, 현재는 6수만 전하고 있다. 희랑에게 준 이 시는 『해인사지』 외에도 최치원의 문집인 『고운집(孤雲集)』에도 증희랑화상(贈希朗和尙)이라는 제목으로 동일한 6수가 수록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증희랑대덕(贈希朗大德)」은 최치원이 희랑에게 준 시이다. 희랑은 후삼국기 신라의 대표적인 화엄종 승려로, 해인사에 있으며 최치원과 교류하였다. 후삼국 시기 해인사 승려들은 견훤을 지지하는 남악파(南岳派)와 왕건을 지지하는 북악파(北岳派)로 나뉘어 있었다. 관혜(觀惠)가 견훤을 지지하였다면, 희랑은 북악파를 대표하는 승려로 고려 태조 왕건의 귀의를 받았다. 해인사에서 열린 희랑의 화엄경 강설을 기려 쓴 시로, 희랑의 높은 화엄학의 경지를 칭송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야산 해인사지』에 의하면 894년(진성여왕 8)에 작성된 것이라 한다.

참고문헌

원전

『고운집(孤雲集)』
『가야산 해인사지(伽倻山 海印寺誌)』 (가산문고, 1992)

단행본

최영성, 『(역주) 최치원전집』 2(아세아문화사, 1999)
국립경주박물관, 『孤雲 崔致遠』 (2012)

논문

김석근, 「최치원 불교시의 문학적 의미」 (『동악어문학』 3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1)
이황진, 「최치원의 귀국 후 한시 작품 연구」(『한국민족문화』 5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유학(儒學)을 공부하는 선비. 우리말샘

주2

비석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3

신라 때에, 혈통에 따라 나눈 신분 제도. 왕족은 성골(聖骨)과 진골(眞骨)로, 귀족은 육두품ㆍ오두품ㆍ사두품으로, 평민은 삼두품ㆍ이두품ㆍ일두품으로 나누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당나라 때에, 외국인에게 보게 하던 과거(科擧). 신라의 최치원 등이 급제하였다. 우리말샘

주5

그 시대에 중요하게 다룰 일에 대한 계책. 우리말샘

주6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