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감국사어록 ()

불교
문헌
고려후기 승려 혼구의 언행을 수록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승려 혼구의 언행을 수록한 불교서.
서지적 사항

전체 2권으로 구성되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내용

이제현(李齊賢)이 쓴 보감국사의 비문에 의하면 일연의 제자는 “수백 수천이나 되지만, 능히 굳은 것을 뚫고 깊은 것을 움켜서 묘계(妙契)가 사제간(師弟間)에 의견이 서로 부합했던 자는 오직 보감국사(寶鑑國師) 한 사람일 뿐이다.”라고 하였다. 혼구는 그의 휘(諱)이며, 자는 구을(丘乙)이다. 호는 무극노인(無極老人)이다. 어릴 적부터 탑을 만들고, 벽을 향하여 앉아 사색에 잠겼으며, 용모가 단정하고 성품이 자애로워 소미타(小彌陀)라고 불렸다. 10살 때에 무위사(無爲寺)의 천경선사(天鏡禪師)에게 출가하였다. 구산(九山)의 승과(僧科)에서 장원 급제하여 상상과(上上科)에 올랐지만 내버리고 일연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스승의 자리를 이어 강당을 열게 되자, 여러 사람을 거느릴 때는 규율 있게 하고, 불경(佛經)을 강의할 때는 하나로 그어 놓은 것같이 하였다. 충선왕(忠宣王) 즉위 후에는 그에게 양가도승통(兩街都僧統)을 제수하였다. 혼구는 침착 중후하고 말이 적으며 학문은 엿보지 않은 것이 없으며, 시와 문에 풍부한 실력을 가졌었다. 그가 죽자 왕은 부음을 듣고 슬퍼하였으며 보감국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은 묘응(妙應)이라고 명명하였다. 저술은 『어록(語錄)』을 비롯하여 『가송잡저(歌頌雜著)』 2권, 『신편수륙의문(新編水陸儀文)』 2권, 『중편염송사원(重編拈頌事苑)』 30권을 남겨 당시 불교계에 유통케 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익재난고(益齋亂藁)』
「조계종자씨산영원사보감국사비명(曹溪宗慈氏山瑩源寺寶鑑國師碑銘)」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조선금석총람』(조선총독부, 19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