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우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곽재우 설화는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에 관한 이야기이다. 곽재우(1552∼1617)에 관한 설화는 구전과 문헌으로 풍부하게 전승되고 있다. 호랑이의 보호를 받는 이야기, 붉은 갑옷에 대한 이야기 등이 있다. 곽재우 부인의 면모 또한 흥미롭게 이야기된다. 곽재우 설화는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구성된다. 하지만 민중들은 곽재우 이야기를 영웅의 승리담으로 전승하고 있다. 아울러 부인이나 여성의 도움이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곽재우를 도가적 능력을 발휘한 인물로 전승하기도 한다.

목차
정의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내용

곽재우(1552∼1617)에 관한 설화는 구전 혹은 문헌으로 풍부하게 전승되었다. 구전설화에서 곽재우는 주1로 태어났고 효성이 지극한 어머니가 시아버지를 살리기 위해서 그를 호랑이에게 던져 주었지만 오히려 호랑이가 보호했다고 하여 영웅적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화소는 견훤이 호랑이의 젖을 먹고 자라났다고 하는 이야기와 일치한다.

곽재우 부인의 면모 또한 흥미롭다. 호랑이에게 목숨을 잃은 인물의 자식들인 남매가 조선에 왔다가 곽재우의 도움으로 호랑이를 죽여 원수를 갚는데, 남매의 오빠는 여동생을 그의 부인으로 남겨두고, 그에게 자신의 갑옷을 주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그러나 갑옷에 대한 이야기는 구전설화마다 달리 전승되기도 한다.

곽재우는 주2으로 활약하여 영웅의 위업을 달성하게 된다. 곽재우가 붉은 갑옷을 입고 활약할 때 붉은 갑옷을 중국 황제가 하사했다고 하여 중국과의 연계를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민중들이 전하는 이야기에서는 곽재우의 갑옷은 그의 부인이 시집 안 간 여성들의 월경대를 모으고 솜을 박아 누벼서 총알을 피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때로는 부인이 천 사람의 공력을 모아서 천 사람의 땀으로 갑옷을 만들어서 왜놈의 총알을 피할 수 있었으며 죽임을 당하지 않는 것으로도 전한다. 붉은 갑옷, 홍의장군 곽재우에게 있어서 여성들의 생식력이 일정하게 작동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문헌설화에서는 곽재우가 과거 시험에서 선조의 견해와 달라서 주3되고 버림받은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오히려 자기 부인의 도움을 받아서 부인이 난리를 준비한 덕분에 여러 가지 시험을 통과할 수 있었다고 하는 것이 이야기의 핵심이다.

곽재우의 후처가 시집을 와서 하는 일이 없이 놀자, 노비, 소, 조를 주어서 이것으로 무엇이든 이루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이러한 것들을 밑천 삼아 여러 가지 전쟁에 대비하는 물건을 준비하는 미립을 발휘하였다. 곽재우는 홍의장군의 휘장을 쓰게 되었으며 말년에는 세상에서 떠나서 자신의 자취를 감추는 신선의 면모를 보이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곽재우의 이야기는 타고난 재주 부분에서는 민중적 영웅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특정한 대목에서는 도가열전에서 전하는 것처럼 이인이나 도사와 같은 면모를 지니고 있어서 주4이나 조식(調息)을 통한 일련의 이인적 주5의 모습도 보인다. 말년에는 먹지 않고 살다가 신선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도 전승된다. 즉 영웅이면서 이인의 모습까지 다양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곽재우설화는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전설화에서는 민중들의 절대적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서 임진왜란 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하는 반면, 문헌설화에서는 내조자인 부인의 도움으로 미리 준비를 하고 전쟁에 임하여 승리했다고 하는 것이 강조되어 있으며, 도가의 신선에 해당하는 능력을 발휘해서 자신의 자취를 감춘 인물로 전승된다.

곽재우를 올바르게 알아보지 못한 점도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으며, 아내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다고 말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와 달리 민중은 영웅의 승리담으로 이야기하며, 많은 이의 도움, 특히 여성들의 도움이 결국 곽재우를 승리자로 만들었다고 이야기한다.

참고문헌

『동야휘집(東野彙輯)』
『어우야담(於于野談)』
『흑룡일기(黑龍日記)』
『망우당집(忘憂堂集)』
『한국민속사전: 설화 1』(임철호·곽재우, 국립민속박물관, 2012)
『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임철호, 집문당, 1986)
『곽재우연구』(이장희, 양영각, 1984)
『한국구비문학대계』 1-5, 1-7, 3-1(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1)
「곽재우 전승의 양상과 의미」(신태수,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주석
주1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를 여읜 자식.    우리말샘

주2

의병을 거느리는 장수.    우리말샘

주3

과거에 합격한 사람의 발표를 취소하던 일.    우리말샘

주4

곡식은 안 먹고 솔잎, 대추, 밤 따위만 날로 조금씩 먹음. 또는 그런 삶.    우리말샘

주5

예전에, 중국에서 도사가 진사(辰沙)로 황금이나 불로불사의 묘약을 만들었다고 하는 일종의 연금술. 또는 그 약.    우리말샘

집필자
김헌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