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령 안전농촌 ( )

근대사
단체
1932년 조선총독부가 만주 봉천성 철령현에 설치하여 한인을 강제 수용한 집거구역.
이칭
이칭
난석산(亂石山)안전농촌
정의
1932년 조선총독부가 만주 봉천성 철령현에 설치하여 한인을 강제 수용한 집거구역.
개설

조선총독부는 동아권업주식회사(東亞勸業株式會社)를 앞세워 ‘만주사변’ 이후 피난민으로 전락한 한인의 안전과 정착을 도모한다는 명분 아래 남북만주 일원에 안전농촌을 설치했다. 영구(營口)·수화(綏化)·하동(河東)·삼원포(三源浦)·철령(鐵嶺) 등에 전략적으로 세워진 안전농촌의 시범적 운영을 거쳐 일제는 집단부락의 설치를 전 만주지역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안전농촌은 강압적인 통제와 수탈을 포함한 ‘수용소’와도 같은 역할을 했다. 안전농촌은 집단부락과 별개로 취급되어 1931년 일제에 의한 만주침공 이후 재만한인의 신변을 ‘보호’했다는 측면이 강조되었던 것도 사실이나, 이는 오히려 본격적인 집단부락의 설치 이전에 시범적 운영을 통해 성공을 담보하고자 했던 일제의 술책이었다. 『경성일보』는 이러한 기만적인 안전농촌정책을 호도하기 위해 1935년 7월 14일부터 7월 20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철령의 동포 안전농촌을 방문하다’를 연재하기도 했다.

연원 및 변천

일제는 1931년 9월 18일 만주 침공 이후 치안이 혼란한 상황임을 내세우면서 ‘비적(匪賊)’의 피해를 입지 않는 안전지대에 한인을 집결시켰다. 그리고는 ‘자작농 창정(創定)’이라는 미명하에 집단부락을 건설하여 장차 ‘모범 농촌’을 만들려 하였다. 이것이 바로 안전농촌이다. 수화·철령·영구·삼원포 등지에 전략적으로 설치된 안전농촌에는 주로 갈 곳을 잃은 재만 한인들이 모여들었으며, 일제는 효율적으로 재만 한인들을 집결․통제하는데 활용했다.

철령안전농촌은 지명을 따라 난석산(亂石山)안전농촌이라고도 한다. 1932년 만주 전역에 설치된 5개의 안전농촌 중 가장 먼저 설치되었다. 1930년대 이후까지 운영된 것으로 보이는 철령안전농촌은 전선이 대륙으로 확대되고, 만주가 일제의 대륙침략전쟁의 병참기지로 전락하는 과정에서 수탈과 억압의 공간으로서 재만 한인사회에 크나큰 고통을 주었다.

기능과 역할

철령안전농촌의 구성원은 평안도와 경상도 출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상당수의 중국인도 수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생활은 무척 열악했으며, 경제적 궁핍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일제의 억압과 수탈을 감내해야 했다. 그러나 일제는 이러한 현실을 철저하게 미화하여 호도하였으며, 친일 지식인들을 내세워 개척이민에서 한인 ‘개척전사’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철령안전농촌에는 1935년 현재 383호가 거주하고 있으며, 경지면적 913정(町), 호당경지면적 2.4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생산량은 1934년을 기준으로 1정보당 26.15석의 단위 면적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하동안전농촌이 22.89석, 영구안전농촌이 16.30석, 수화안전농촌이 9.70석의 수치였음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량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36년 대규모 풍수해로 철령안전농촌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은데 이어, 1937년에도 대규모 수해가 영구·철령안전농촌을 엄습하여 막대한 피해를 냈다. ‘15년래 가장 큰 물난리’로 철령 안전농촌은 말 그대로 ‘수국화(水國化)’되기에 이르렀다. 1936년 4월, 철령안전농촌에는 경상남도에서 이주해 온 50호가 정착하였는데, 화장실이 하나밖에 없어 위생상 매우 열악한 환경이었다. 수질 역시 나빠 악취가 풍기고 끓이면 적색으로 변하는 우물을 이용해야 했기에 전염병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다. 실제로 1936년 5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사망한 수가 52명(남자 34명, 여자 18명)에 이르렀다.

경제적 곤란은 물론,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위생과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철령안전농촌의 한인들은 1935년 6월 자체적으로 난석산보통학교를 세워 민족교육을 실시하려는 시도를 전개하기도 했으나, 일제의 개입으로 운영이 용이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안전농촌은 1930년대 초반 일제에 의해 설치되어 재만한인들을 통제하고 억압했던 폭력적인 식민통치기구였다. 철령안전농촌은 이러한 안전농촌의 대륙침략적 속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안전농촌 중에서도 가장 먼저 설치되어 시범적 운영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만주국시기 한인(韓人)의 강제이주와 집단부락 연구』(유필규,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15)
「일제의 재만조선인 통제를 위한 철령안전농촌에 대하여」(홍종필, 『명지사론』 9, 명지대 국사학과, 1998)
「滿洲開拓農村現地報告」(沖中守夫, 『朝鮮』, 조선총독부, 1941. 10)
「朝鮮人移民問題の重大性」(鎌田澤一郞, 『朝鮮』, 1935. 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