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상회 ()

목차
근대사
단체
1888년에 설립되어 1889년에 소멸한 상업 회사.
목차
정의
1888년에 설립되어 1889년에 소멸한 상업 회사.
내용

사원은 이치경(李致景), 김명구(金命九), 김효석(金孝錫), 홍윤환(洪允煥) 등이었으며, 주 활동 무대는 충청도와 경상도 일대였다.

개항 이후 외국 상회사들이 침투하고 외국 사정에 대한 정보가 확산되면서 조야(朝野)를 막론하고 회사를 부국강병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확산되었다. 정부가 회사를 보호한다는 생각은 최초의 민간회사들인 대동상회(大同商會)와 장통회사(長通會社)에 대한 김윤식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평안도인이 처음으로 상회를 조직하고 대동상회라 했다. 외아문이 그를 보호했다. 서울의 중촌 사람들이 장통방 준천사에 상회를 설립하고 장통상회라 했다. 내아문이 그를 보호했다.”고 썼다.

그런데 관부 및 궁방과 연계된 특권 상인이 물종별·지역별 독점권을 행사하는 것이 당시의 상업 관행이었기 때문에, 정부의 보호 내용도 이 관행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정부는 회사로부터 영업세를 상납 받는 대신 지방관이 별도의 무명잡세를 징수하지 못하도록 했다. 태평상회 역시 이런 방식으로 충청도와 경상도 각군(各郡)에 지사를 설치하고 무명잡세를 면제받았다.

태평상회의 주 거래선은 독일 상사 세창양행(世昌洋行)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평상회는 설립 1년 만에 세창양행에서 수천 량을 차입했는데, 결국 갚지 못하고 해산했다.

참고문헌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일기(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日記)』
『한국 회사의 탄생』(전우용,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