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실 천자문 ( )

언어·문자
문헌
이무실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1735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본.
정의
이무실의 글씨를 판하(板下)로 하여 1735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본.
구성 및 형식

현재 규장각 소장 사간본의 서지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목판본, 1책 32장, 책 크기 세로 30.8㎝, 가로 25㎝. 제1, 2장만 사주단변, 나머지는 사주쌍변이며, 반곽 크기는 일정하지 않은데, 첫 장은 세로 22.7㎝, 가로 21.1㎝. 유계이고, 한 면의 글자는 1면 4항, 1항에 한자를 대자로 4자씩 써 놓고, 한자마다 소자로 한글로 새김과 한자음을 달아 놓았다. 판심은 백구, 어미는 상하화문이엽어미, 판심제는 없으며, 장차만 표시하고 있다. 표제는 ‘천자문언석(千字文諺釋)’이다. 지질은 두터운 고정지로, 간혹 굵게 섞인 지푸라기가 보인다.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아 찢기거나 닳은 곳이 전혀 없다. 나뭇결이 튼 부분이 많이 보이며, 마멸된 글자가 꽤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서 후쇄본으로 추정한다. 자형은 대체로 좋으나, 탈각이나 오각이 꽤 많이 보인다.

1735년(영조 11, 옹정 13) 경주 이씨 이무실이 판하를 써서 초간하였고, 1830년(순조 30) 이무실의 손자 이기대, 증손 이맹신이 중간하였으며, 1857년(철종 8) 5대손 이지수가 삼간하였고, 1894년(고종 31) 5대손 이동진이 사간하였다.

내용

주흥사가 찬한 천자문에 이무실이 새김과 한자음을 단 이 책의 특징을 사간본을 중심으로 들면 다음과 같다.

표기법상 특징을 들면, 초성 글자로 ‘ㄱ, ㄴ, ㄷ, ㄹ, ㅁ, ㅂ, ㅲ, ㅳ, ㅄ, ㅶ, ㅅ, ㅺ, ㅼ, ㅽ,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등이 쓰였다. ㅅ계 병서 중 ‘ㅾ’이 나타나지 않는다. 된소리 표기에 ㅂ계와 ㅅ계가 쓰였다. 중성 글자로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ㅗㅑ, ㅚ, ㅛ, ㆉ, ㅜ, ㅝ, ㅜㅕ, ㅞ, ㅟ, ㅠ, ㆌ, ㅡ, ㅢ, ㅣ, ㆍ, ㆎ’ 등이 쓰였다(이 중 ‘ ㅗㅑ, ㅜㅕ’는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표기이다.). 종성 글자로 ‘ㄱ, ㄴ, ㄷ, ㄹ, ㄺ, ㄼ, ㅁ, ㅂ, ㅅ, ㅇ’ 등이 쓰였다. 받침에서 ‘ㄷ’과 ‘ㅅ’은 거의 ‘ㅅ’으로 표기하고 있다. 전설성 자음의 중철 표기가 두드러져 형태소 경계에서뿐만 아니라 한 형태소 안에서조차 나타난다. 한 형태소 안에서 일어나는 중철 표기는 선행모음이 주로 [-전설성]인 경우로 제1음절에 나타나고 있다. ㄴ과 ㄹ의 혼기가 보인다. 근대 국어 시기 문헌의 일반적 현상인 과도 분철 표기는 단 2회 나타날 뿐이다.

음운론적 특징을 들면, 구개음화(ㄷ, ㅌ, ㄱ, ㅎ 구개음화), 반모음 ㅣ삽입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동음 첨가(ㄹ, ㅁ, ㅂ첨가), ㄷ첨가 등 자음 첨가, 어말 ㄷ탈락과 ㄷ 앞의 ㄹ탈락, 순음 아래 ‘ㅡ〉ㅜ’, ‘ㆍ〉ㅗ’ 등 원순모음화( ‘ㅡ〉ㅜ’ 는 비어두음절뿐만 아니라 어두음절에서도 나타나며, 형태소 경계에서도 활발히 일어남), 치찰음 뒤 단모음화, ㅔ∼ㅐ 혼란, 전설 고부 모음화(치찰음 뒤뿐만 아니라 순음 ㅂ, ㅅㅂ 뒤에서도 일어남), 후설 고부 모음화, 움라우트, ㆎ, ㅢ, ㅟ〉ㅣ 현상 등이 보인다. 어두에 ㄹ이 오는 것을 꺼려 ㄴ으로 나타나며, 이 문헌에 앞서 나온 석봉천자문, 곧 중세 국어 문헌에는 예사소리였던 것이 거센소리로 나타난 것이 있다. ‘ㄴ→ㄹ/{ㄹ__}, ㄹ→ㄴ/ {ㅇ}, ㄷ→ㄴ/ㄴ’ 등 자음동화 현상이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무실천자문』은 근대 국어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음운 자료, 어휘 자료이다. 근대 국어 시기의 일반적 모습을 보이면서도 이와 다른 모습을 꽤 지니고 있다. 이는 방언의 반영으로 봄 직한 것들이다. 근대 국어 시기 지역 방언을 반영하는 국어사 자료로 다룰 수 있겠다. 곧 『이무실천자문』은 국어 음운사는 물론, 국어 어휘사와 지역의 방언사를 기술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이무실 서(書) 정사본(丁巳本)’ 〈천자문〉 연구」(손희하, 『한국언어문학』 51, 2003)
「대구본 이무실 천자문에 대하여」(손희하, 『어문연구학회 겨울 전국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1)
「이무실 천자문의 서지적인 연구」(안미경, 『고인쇄문화』 8, 2001)
「이무실 『천자문』 연구: 갑오본을 중심으로」(손희하, 『중한인문과학연구』 5, 2000)
「새로 발견된 이무실 천자문」(안미경, 『한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창립 20주년 기념논문집』, 2000)
「새김 어휘 연구」(손희하,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천자문」 자석 연구: 난해어의 어의 구명을 중심으로」(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