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열 ()

현대사
인물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로, 1987년 경찰의 최루탄에 피격되어 사망한 인물.
이칭
본명
이한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66년 8월 29일
사망 연도
1987년 7월 5일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
주요 저서
한열, 그대 고운 이름이여
관련 사건
6월항쟁
내용 요약

이한열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로, 1987년 경찰의 최루탄에 피격되어 사망한 인물이다. 1966년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출생하여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다. 입학 후 동아리 '만화사랑'을 만들어 활동하였으며, 1987년 6월 9일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집회에 참가해 시위 도중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에 후두부를 맞아 7월 5일 사망하였다.

정의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로, 1987년 경찰의 최루탄에 피격되어 사망한 인물.
가계 및 인적 사항

이한열(李韓烈)은 1966년 8월 29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서 부친 이병섭과 모친 배은심의 2남 3녀 중 넷째로 출생하였다. 어린 시절을 화순에서 보내고 광주동산초등학교와 광주동성중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를 거쳐 1986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다.

주요 활동

이한열은 중학교 2학년 재학 중 5 · 18광주민주화운동을 목격하고 학생운동에 투신할 것을 결심하였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 학생운동에 투신하였으며, 동아리 ‘만화사랑’을 만들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만화사랑은 운동권과 만화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함께 활동하는 동아리였고, 이한열은 성실한 태도로 양자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학생운동에 헌신하면서도 실제로 만화를 배우는 데 열심이었다. 시위 현장을 만화로 그리기도 하였고, 민중미술 계열의 화가를 초청하여 배우는 기회를 만들기도 하였다.

1987년 6월 10일 개최 예정인 ‘고문 살인 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대회’를 앞두고 연세대에서 열린 ‘6 · 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후 시위 도중 전투경찰이 쏜 최루탄에 후두부를 맞아 혼수상태에 빠진 후 7월 5일 사망하였다. 이한열의 최루탄 피격 사건은 6월항쟁을 확산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한열의 장례식은 1987년 7월 9일 ‘민주국민장’으로 치러졌다. 운구 행렬은 연세대학교 본관과 신촌 로터리를 거쳐 서울시청과 광화문을 지나 광주로 이동하였으며, 국립5 · 18민주묘지에 안장되었다. 운구 행렬이 지나는 동안 서울 100만 명, 광주 50만 명 등 전국적으로 총 160만 명의 추모 인파가 운집하였다.

1987년 11월 고(故) 이한열 열사 추모사업회가 설립되었으며, 1988년 6월에는 이한열 추모사업회가 설립되었다. 1988년 9월에는 이한열 열사 추모비와 추모 동산이 조성되었다. 1989년 11월 추모 문집 『이한열, 유월하늘의 함성이여』가 발간되었고, 1992년 2월 29일 연세대학교 명예학사 학위가 추서되었다. 2005년에는 이한열기념관이 개관하였고, 2008년 7월 이한열 장학회도 시작되었다. 2011년 2월 이한열기념사업회가 창립되었으며, 2016년 6월 9일 연세대학교 정문에 추모 동판이 설치되었다. 2018년 11월에는 제1회 이한열학술제가 개최되었다. 2020년에 필사 유고집으로 『한열, 그대 고운 이름이여』가 간행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희, 『1987 이한열: 쓰러져 일으킨 그날의 이야기』(사회평론, 2017)
서성란, 『이한열: 나의 행동이 너를 부끄럽지 않게 하기를』(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