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근 ()

목차
불교
개념
선한 결과[善果]를 받을 수 있는 원인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선한 결과[善果]를 받을 수 있는 원인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인과설을 주장하는 불교교리에는, “선한 원인을 심으면 선한 과보를 받고, 악한 원인을 심으면 악한 과보를 받는다(善因善果 惡因惡果)’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선인이 곧 선근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선근은 무탐(無貪)·무진(無瞋)·무치(無癡)의 3선근(三善根)을 줄여서 부른 말인데, 이것은 탐욕, 분노, 무지의 삼독(三毒)을 없앤다는 뜻으로 팔정도, 육바라밀과 같은 불교 수행의 기초가 된다. 또한 권선징악의 민간신앙에 있어서 불교의 공덕을 닦아 내세의 안녕을 기대하는 실천덕목으로 자주 권장된다.

『금강경』에는 말세의 중생이라도 『금강경』의 가르침을 듣고 신심을 내는 자는 과거에 한 붓다뿐만 아니라 무수한 붓다가 계신 곳에서 선근을 심은 자라는 경구를 볼 수 있다. 선근에 의해 얻는 과보는 줄여서 보(報)라고 부르는데 『범망경(梵網經)』에는 사람간의 선근인연에 의해 다음과 같은 보를 얻는다고 설해져 있다. “1천겁의 (선근을 심으면) 한 나라에 태어나고, 2천겁에 하루 동안 길을 동행하며, 3천겁에 하룻밤을 한 집에서 지낸다. 4천겁에 한 민족으로 태어나고, 5천겁에 한 동네에 태어나며, 6천겁에 하룻밤을 같이 잔다. 7천겁은 부부가 되고, 8천겁은 부모와 자식이 되며, 9천겁은 형제자매가 된다. 1만겁은 스승과 제자가 된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한국의 민간속설 가운데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다”라고 한 것도 이처럼 선근과 과보에 대한 믿음에 기인한다.

참고문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대정신수대장경[대정장]』 27)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대정장』 27)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대정장』30)
『유식사상과 대승보살도』(오형근, 유가사상사, 1997)
『業論の硏究』(佐佐木現順, 京都: 法藏館, 1990)
『佛敎要語の基礎知識』(水野弘元, 東京: 春秋社, 197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