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조선 ()

언론·방송
문헌
1930년에, 여성조선사에서 여성들에게 교양과 사회의식을 계몽하기 위하여 창간한 여성 잡지.
정의
1930년에, 여성조선사에서 여성들에게 교양과 사회의식을 계몽하기 위하여 창간한 여성 잡지.
개설

『여성조선(女性朝鮮)』은 1930년 8월부터 1933년 1월까지 발간되었다. 유명 인사들이 필진으로 참여하였으며, 여성들에게 사회의식과 여성의식을 심어주는 글을 게재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여성조선(女性朝鮮)』이 창간되었던 1930년대는 일제의 만주 침략이 시작되고 점차 전시체제로 나갈 시기였다. 『여성조선』은 여전히 공교육에서 소외되어 사회의식을 갖지 못한 여성들에게 ‘독서와 공부를 통해 자신이나 사회의 현실을 알라’고 주장하는 의식 계몽의 성격을 다분히 가진 잡지였다.

서지적 사항

약 3년간 월간 또는 격월간으로 발간된 것으로 보이나, 현재 27호와 28호 단 두 권만 남아있다. 편집 겸 발행인은 김희철(金熙哲), 인쇄인 김진호(金鎭浩), 인쇄소는 한성도서주식회사이고, 발행소는 여성조선사이다. 국배판으로 27호는 38쪽, 28호는 102쪽이며, 국한문 혼용이다.

내용

여운형, 김경재, 원세훈, 허정숙 등 유명 필자들이 시사문제에서부터 문예 방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도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여성들의 일반 교양이나 사회 의식을 높이기 위한 글을 게재하고 있다. 기사 제목을 보면, 번역 글 「부인운동의 근본정신」, 「원시적 생활을 배우는 독일 여학생」, 윤태림의 「체격과 성격」, 일기자의 「직업여성의 의식문제」, 조선(照鮮)의 「조선과 산아제한」, 장덕조의 「여성수난」 등 당시 여성과 관련된 근대성을 띠는 흥미로운 주제를 다양한 형식으로 다루고 있다. 동시에 한 면에 조금이라도 여백이 있으면 약간의 광고 또는 삽화를 곁들인 여성 풍자도 넣어 잡지 면을 아껴 활용하였다. 당시 궁핍한 사회 속에 어려운 출판 상황을 엿보게 하는 공통된 모습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여성조선』은 1930년대 초반 조선 여성의 교양이나 사회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 관심사와 역할 등에 대해 교육하려한 종합교양지에 해당한다. 여성운동이 활발했던 1920년대를 지나 아직도 깨기 어려운 조선의 전통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도 이전과는 달라진 사회에 적응하여야 했다. 이에 『여성조선』은 직업과 가정생활 측면에서 개선할 점 등을 제시하고, 여성의 교육과 역할이 중요하며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일깨우려고 하였다. 당시 여성사회는 아직 공교육도 부족한 상태이고, 더욱이 식민지 사회의 곤고함을 피부로 가장 심하게 느끼는 것이 여성이라 그들에게 조금이라도 힘을 불어넣어주려고 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4: 여성잡지』(소명출판, 2014)
『한국여성관계자료집 한말여성잡지』(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편, 이화여대출판부, 1981)
『한국잡지사』(김근수, 『성암저작집』 8, 청록출판사, 1980)
「일제시대의 출판문화」(김봉희, 『한국문화연구』 14,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2008)
집필자
정현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