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리무

총각김치
총각김치
식생활
생물
북지형 작은 무 계통에 속하는 극조생종 무.
이칭
이칭
총각무, 알무, 달랑무
생물/식물
높이
9~12㎝(뿌리 길이)
둘레
3.3~4.5㎝(지름)
수령
40~50일(생육 기간)
학명
Raphanus sativus
내용 요약

알타리무는 북지형 작은 무 계통에 속하는 극조생종 무이다. 재래종인 서울봄무를 개량하여 육성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부터 재배가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이며, 알타리무의 둥글고 뭉툭한 뿌리의 모양이 묶은 둥근 머리의 모양과 흡사하여 총각이라 불리게 되었다. 알타리무의 생육 기간은 40~50일이며, 뿌리가 100g 내외일 때 수확한다. 알타리무는 주로 남부 지방 대도시 근교에 단지를 이루어 재배되고 있으며, 뿌리와 잎까지 김치로 담가 먹는다.

정의
북지형 작은 무 계통에 속하는 극조생종 무.
형태와 생태

알타리무는 무의 일종이다. 북지형 작은 무 계통으로 전분질은 비교적 많으나 저장성이 약한 주1 무이다. 재래종인 주2를 개량하여 육성한 무로서 1970년대 중반부터 전국으로 재배가 확대되었다. 다양한 시기에 재배할 수 있는 춘추 알타리가 도입된 이후에 재배 면적이 더욱 확장되었다.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주5이다. 총각은 한자로 ‘總角’이고, 한자의 뜻은 ‘머리털을 모아 뿔처럼 묶음’ 또는 ‘그렇게 묶은 머리’이다. 알타리무의 둥글고 뭉툭한 뿌리의 모양이 뿔처럼 묶은 둥근 머리의 모양과 흡사하여 총각무라는 이름이 생겼다.

알타리무의 생육 기간은 40~50일이며, 뿌리 9~12㎝, 지름 3.3~4.5㎝, 무게 90~110g이다. 재배 형태로는 하우스, 터널, 노지 작형이 있다. 알타리무는 재배 기간이 다른 작물에 비해 짧아 주3가 적게 들고 토지의 이용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알타리무는 일조량이 풍부해야 하지만 토양 적응성이 넓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표토가 깊고, 수분을 잘 보종하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 주4가 좋다. 재배 토양의 pH는 5.8~6.8의 범위로 비교적 약산성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알타리무는 저온에 노출되면 뿌리가 굵어지기 전에 꽃대가 올라와 상품성을 잃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발아 이후에 저온에 오랜 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알타리무는 생육 기간이 짧아 40~50일이 되면 뿌리가 100g 내외가 되어 수확할 수 있다.

관련 풍속

알타리무는 주로 김치의 재료로 이용한다. 알타리무로 만든 김치는 주로 총각김치라고 부르며 뿌리와 잎까지 같이 담가 먹는 것이 특징이다. 알타리무로 만든 김치가 총각김치로 불리기 시작한 시기는 1950년대로 추측하고 있다. 1959년 월간 여성 종합 잡지인 『여원(女苑)』 1959년 11월호에 “아주 서민적이고 애교 있는 김치로 한겨울에 손에 들고 어적어적 먹는 것”이라고 표현한 기록이 등장한다. 1961년 11월 18일 『경향신문』의 김장 기사에는 동치미의 재료로 총각김치무를 쓰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총각김치는 최근에도 가정에서 선호하는 김치 중 2순위로 뽑힐 정도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현황

알타리무는 주로 남부 지방과 대도시 근교에 단지를 이루어 재배되고 있다. 생산된 알타리무는 대부분 총각김치의 재료로 사용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항범,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예담, 2009)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무-』(농촌진흥청, 2020)
이정명, 『채소학 각론』(향문사, 2020)
박성훈, 『2018년도 김치산업동향』(세계김치연구소, 2019)
주석
주1

상당히 일찍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성숙함. 또는 그런 농작물이나 과일. 우리말샘

주2

봄무의 하나. 추대가 늦어 서울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 왔다. 뿌리의 줄기는 2∼3cm, 뿌리의 길이는 8∼9cm, 무게는 300g 정도이다. 4월 중순에 파종하여 60일이면 수확이 가능하다. 우리말샘

주3

농업을 경영하는 데 드는 비용. 우리말샘

주4

진흙이 비교적 적게 섞인 보드라운 흙. 공기와 물의 유통이 좋고 비료의 분해가 빨라 농작물을 심기에 알맞다. 우리말샘

주5

무청째로 김치를 담그는, 뿌리가 잔 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준호(국립원예원 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