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년 ()

목차
관련 정보
식생활
인물
해방 이후, 서울 반가 음식을 계승해온 전통 요리 연구가.
이칭
튼눈
별명
정혜당(靜慧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34년 3월 18일
사망 연도
2018년 9월 7일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서울
주요 저서
김숙년의 600년 서울 음식|맛깔난 서울반찬|오현(梧峴)에 드네|아버지, 유채꽃이 참 고와요
대표 상훈
올해의 신사임당(2014년)
내용 요약

김숙년은 해방 이후 서울 반가 음식을 계승해 온 전통 요리 연구가이다. 조선 순조의 둘째 딸인 복온공주의 남편 창녕위 김병주의 후손이다. 조선 왕실과 반가의 친인척들 사이에서 음식을 배우고 익혔다. 40여 년 동안 교직 생활을 한 후 본격적으로 요리책 집필과 강연을 하며 서울 반가 음식 연구가로 활동하였다.

정의
해방 이후, 서울 반가 음식을 계승해온 전통 요리 연구가.
인적 사항

김숙년(金淑年)은 1934년 3월 일제 주9에 활동한 주1 경인(褧人) 김문현(金文顯, 1913~1974)의 장녀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튼눈, 당호는 정혜당(靜慧堂)이다. 김창집(金昌集)의 6형제 중 막내 김창립(金昌立)의 후예로서 순조(純祖)의 둘째 딸인 복온공주(福溫公主)의 남편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 1819~1853)의 6대손이다. 고조부 김석진(金奭鎭, 1843~1910)은 고종주2를 지냈고, 조부 김윤동(金潤東)은 창문여자고등학교 설립자이다. 한글 서예가인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은 그녀의 작은 아버지이다. 김숙년은 도봉구 번동에 위치한 ‘오현(梧峴)’에서 집안 어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랐다. 오현은 창녕위 김병주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자, 김석진이 한일합병주3 순국 자결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장소이다.

주요 활동

김숙년은 1957년 이화여자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전공이 아닌, 어려서부터 어깨 너머 배운 서예로 주4에서 입선한 이력을 바탕으로 졸업한 해에 성심여자고등학교에서 서예 교사로 교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973년부터 1996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창문여자고등학교에서 가정과 교사로 재직하였다. 그는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등 집안 어른들과 대가족 생활을 하면서 주8를 보냈다. 그는 주5에서 주6에 이르기까지 예절과 주7, 의식 등을 체험하며 성장하였다. 반가에서 먹고 자란 그는 음식의 맛과 조리법을 기억하고 재현하고 정리하면서 서울 반가 음식의 계승자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정년 퇴임 이후 본격적으로 저술과 강연 활동 등을 통해 반가 음식 문화를 알리는 일을 하였다.

학문과 저술

김숙년은 대가족이 생활하던 시절, 할머니와 어머니로부터 배운 음식의 맛과 조리법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반가 음식의 조리법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요리책 『맛깔난 서울반찬』과 『김숙년의 600년 서울 음식』을 집필하였다. 이 책들은 전통 요리 연구가들의 필독서로 평가받고 있다. 그 외 저서로 『아버지, 유채꽃이 참 고와요』, 『오현(梧峴)에 드네』 등 수필집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숙년, 『아버지, 유채꽃이 참 고와요』(삶과 꿈, 1995)
김숙년, 『맛깔난 서울반찬-조선왕실의 전통요리를 이어오고 있는 김숙년 선생의 손맛 요리-』(서울문화사, 2001)
김숙년, 『김숙년의 600년 서울 음식』(동아일보사, 2002)
김숙년·장선용·강순의, 『한식 요리 대가의 손맛 3인3색 김치』(동아일보사, 2003)
김숙년·김익선, 『할머니가 물려주신 요리책』(장영, 2013)
김숙년, 『오현에 드네』(도서출판 시륜, 2014)
김숙년, 『올해의 신사임당 김숙년 선생이 전하는 오늘의 육아』(꽃숨, 2015)

인터넷 자료

'신사임당상에 전통요리연구가 김숙년 씨', 『연합뉴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898755?sid=103, 2014.05.09)
'“자랄 때 먹던 음식 맛의 기억을 하나하나 살려 반가 음식 재현해냈죠”', 『백세시대』(http://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648, 2015.06.25)
주석
주1

붓글씨로 일가를 이룬 사람. 또는 붓글씨를 직업적으로 쓰는 예술가.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둔, 형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3

순종하지 아니하고 맞서서 반항하다. 우리말샘

주4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를 줄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양반의 집안. 우리말샘

주6

왕의 집안. 우리말샘

주7

생활상의 예법과 제도(制度)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어린이가 성장ㆍ발달하는 단계의 하나. 유아기와 소년기의 중간으로 유치원 교육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우리말샘

주9

1910년에 일본에 의해 우리나라가 국권을 빼앗긴 이후 1945년 광복되기까지 35년간의 시대.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