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연구단지 ()

과학기술
지명
연구기관과 대학이 한곳에 모인 한국의 첫 번째 연구단지.
이칭
이칭
서울연구개발단지
지명/시설
건립 시기
1971년
면적
37,646㎡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대문구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릉연구단지는 연구기관과 대학이 한곳에 모인 한국의 첫 번째 연구단지이다. 임업시험장이 있던 홍릉에 1960년대 후반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가 설립되었고, 1971년 한국과학원, 한국개발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가 들어서면서 홍릉은 한국의 첫 번째 연구단지가 되었다. ‘서울연구개발단지’로 불린 홍릉연구단지는 과학기술에서 경제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연구기관이 모여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했다. 2020년 디지털 헬스케어를 특화 분야로 한 국내 최초의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서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정의
연구기관과 대학이 한곳에 모인 한국의 첫 번째 연구단지.
설립 목적

과학기술에서 경제에 이르기까지 연구기관, 대학 등을 한 곳에 집적시켜 인력과 정보의 교류를 통해 국가적인 연구개발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1971년 주1을 갖고 서울연구개발단지라는 이름으로 공식 출범하였다. 일부 연구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였으나, 202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남은 기관과 인접한 대학의 연구개발 능력을 결합하여 바이오‧의료 R&D 거점을 목표로 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었다.

변천 및 현황

산림청 소속 임업시험장(현 국립산림과학원)이 있던 홍릉(洪陵)에 1966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가 신설되었고, 그 옆에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도 자리를 잡았다. 뒤이어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원(현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개발연구원이 두 기관 옆에 들어서기로 하였고, 1971년 4월 세 기관이 합동으로 ‘서울연구개발단지(Seoul Research & Development Park) 기공식’을 열면서 홍릉은 한국의 첫 번째 연구단지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홍릉연구단지(洪陵硏究團地)로 불렸으며, 1970년대를 거치면서 국제경제연구원(현 산업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이 설립되면서 한국의 과학기술, 경제, 산업 정책에 대한 연구를 담당하는 주2 역할을 하였다.

1983년 국방과학연구소의 대전 이전을 비롯해 일부 연구기관이 대덕연구단지로 이전하였지만, 1996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이 개설되었고, 같은 해 한국과학기술원 부설로 고등과학원이 설립되었다. 2000년대 이후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경제 · 사회 분야 연구기관이 이전하였지만, 202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남은 연구기관과 인접한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대학의 연구개발 능력을 결합하여 바이오‧의료 R&D 거점을 목표로 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됨으로써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요 활동

1970년대 건설된 홍릉연구단지는 한국의 고급 인력을 한데 모은 국가적 두뇌 역할을 하였다. 대덕연구단지의 건설 이후 과학기술 분야 활동의 중심지는 대덕으로 옮겨갔지만, 경제, 국방 분야의 연구 활동의 중심지이자 수도권의 과학기술 연구 기반으로 활약하였다. 현재는 바이오‧의료 R&D 거점을 목표로 한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어 관련 연구 및 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과학, 경제, 산업 분야 싱크 탱크 역할을 담당한 한국 최초의 연구단지라는 상징적 의미와 함께 1970년대 경제 발전을 끌어내는 국가적 싱크탱크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후 대덕연구단지 건설과 기존 기관들의 이전으로 이후 홍릉연구단지는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해야 했다. 2020년 인접한 대학과 연구단지의 연구역량을 결합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만용,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들녘, 2017)

인터넷 자료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https://www.inno.hongneung.re.kr/main#)
주석
주1

토목이나 건축 따위의 공사를 시작할 때에 하는 의식. 우리말샘

주2

각 학문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의 경영 전략 따위를 연구하는 두뇌 집단.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