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성향교(結城鄕校)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23년에 도유사(都有司) 가진(賈璡)이 중수하였고, 1674년에는 현감 남종표(南宗標)가 중수하였으며, 그 뒤 1699년·1752년·1822년·1828년·1841년·1865년에 부분적인 보수공사가 있었고, 1914년과 1923년에 지방유림이 모은 기금으로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제기고(祭器庫)·내삼문(內三門)·홍살문 등이 있다. 대성전은 맞배지붕에 정면 세칸, 측면 세칸이며 내부에는 5성(五聖)·송조4현(宋朝四賢) 및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