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현왜구사건(庇仁縣倭寇事件)
태종은 즉시 도내의 시위별패(侍衛別牌) · 하번갑사(下番甲士) · 수호군(守護軍) 등을 징집, 대비하게 하고, 성달생(成達生)을 경기 · 황해 · 충청도수군도처치사에, 이각(李恪)을 경기수군첨절제사에, 이사검(李思儉)을 황해도수군첨절제사에, 왕린(王麟)을 충청도도수군절제사에, 해주목사 박령(朴齡)을 겸황해도병마도절제사에 임명하였다. 또한 박은(朴訔)의 건의에 따라 항왜(降倭) 평도전(平道全)을 충청도조전병마사(忠淸道助戰兵馬使)로 삼아 반왜(伴倭) 16명과 함께 왜구를 토벌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번 침입에서 왜적은 병선 7척을 불태우고 비인현을 공함(攻陷)해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 싸움으로 도두음곶만호 김성길(金成吉)이 아들과 함께 전사했으며, 아군의 태반이 전사하는 등 피해가 컸다. 때문에 왜구의 이번 침입으로...